정부는 국제유가가 연일 100달러 이상 상회하자 지난 2월 28일 국가 에너지 위기 경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하고 에너지사용 제한 조치에 들어갔다. 주의 단계는 국민생활에 최소한의 제한을 두는 것으로 불요불급한 에너지 사용을 우선 제한하고 옥외 야간 경관조명 소등, 공공부문 자동차 5부제와 교량, 육교, 분수대, 기념탑 등의 조명등은 소등해야 한다.
경기도는 민간부문 절약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공공기관과 민간부문까지 에너지사용 제한이 확대 실시된 지난 7일 밤과 8일 새벽, 8일 밤과 9일 새벽 2번에 걸쳐 도내 인구 50만 이상 시와 서울시 인접시 12개 지역에 대한 이행실태를 점검한 바 있다. 금융회사와 대기업, 백화점, 골프장, 아파트, 유흥업소 등의 546개소 중 426개소 이행, 120개소 미이행으로 78%의 이행률을 기록, 대체로 잘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어느 주유소는 전체 조명의 50%를 소등하도록 돼있는 규정보다 더 많게 소등하고 있었으며 아파트관리사무소에서는 공동전기절약 차원에서 옥상 조명등을 소등하는 모범을 보이고 있다. 이번 점검은 3월 2일 에너지사용제한 고시 이후 홍보기간이 짧았고 시범적 실시였던 것을 감안하면 대단히 양호한 수준이어서 우리 도민들의 녹색가치 의식수준이 한 단계 높아졌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하고 싶다.
이제 에너지 절약은 선택이 아니고 필수다. 도나 시·군에서 시켜서 하고, 안 시키면 안하는 이러한 단계는 지나지 않았나 생각한다. 승용차 5부제 이행도 그렇다. 일주일에 한번 정도는 대중교통을 이용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옥외 야간조명을 많이 켰다고 손님이 많이 오는 것은 아니다. 고유가 각종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은 국민의 동참없이는 실효성 있는 결과를 내기 어렵다.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절전형 가전기기를 선택하고, 쓰지 않는 조명을 끌때 녹색성장은 희망이 아니라 현실이 될 것이다. 모든 직장과 가정이 녹색을 선택하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정부의 몫이라면, 이를 실천하는 주체는 국민이다.
급하게 서두른다고 갑자기 에너지 절약한 것이 눈에 보이는 것은 아니다. 혹 불필요한 소켓에 꽂아놓은 플러그는 없는지, 햇빛으로 실내조명이 가능한데도 아침에 켜놓은 형광등을 그대로 두지는 않았는지, 우리 주변부터 하나하나 점검해 보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소와 방법은 많이 있다. 에너지 문제에 취약한 우리의 경제구조에서 고유가는 분명 위기지만 에너지 절감 요인을 찾아내고 개선하는 데 우리의 지혜와 기술력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