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뚜렷하다. 경기도의 사례를 보면 이들에 대한 지원이 겉돈다. 청소년 한부모 수는 지난해말 기준 540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미혼모 미혼부는 80%인 432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양육비 및 검정고시 학습비 등 연간 154만원과 자립지원 촉진 수당 10만원을 받는 한부모는 일부에 그친다. 지난해 국비·지방비로 도에 배정된 한부모 지원 예산은 16억4천200만원이다. 이중 지원된 예산은 12%인 2억1천만원에 불과했다.
지원 자체를 외면하는 실상에는 사회적으로 곱지않은 시선이 있다. 그래도 신원이 파악된 이들은 스스로 또는 지역 사회의 의지·노력 여하에 따라 주변과 소통하며 좀더 나은 생활을 할 수 있다. 우려가 큰 영역은 사각지대, 즉 움츠려 세상밖으로 나오기를 꺼려하는, 보이지 않는 영역이다. 확인되지 않은 미혼모·부가 경기도내에만 2천명이 넘는다는 추산이다. 신분을 밝히고 도움을 요청하기 전에는 어떤 지원도 할 수 없다.
청소년 미혼모·부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보듬는데 실패하면 사회적 비용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사회의 한 현상으로 인정하고 끌어내지 못하면, 정상적이지 못한 가족관계와 가난의 대물림 확률이 높아져 사회의 건전성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역사회가 이들을 적극적으로 찾아내 보살피는 돌보미 공통체가 돼야 건전한 건강한 복지사회로 성장할 수 있다. 사회 구성원이 정부가 긍정적인 마인드로 고민하고 해결해야 하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