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조용완 논설위원]사별 또는 이혼, 미혼 등의 이유로 혼자 아이를 키우는 사람을 한부모라 한다. 이들 가정은 우리 사회에 한 부분을 차지한 엄연한 공동체의 일부다. 원해서, 아니면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든 대부분의 한부모, 즉 일반 가정에서 보면 비주류인 이들은 정상적인 대접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더욱 힘들어하는 한부모는 결혼하지 않은 청소년 미혼모와 미혼부다. 미성년자가 아이를 낳아 기르는, 사회통념상 결혼이라는 정상적인 절차를 밟지 않았기 때문에 편견이 끼어 든다.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어렵다.

통계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뚜렷하다. 경기도의 사례를 보면 이들에 대한 지원이 겉돈다. 청소년 한부모 수는 지난해말 기준 540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미혼모 미혼부는 80%인 432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양육비 및 검정고시 학습비 등 연간 154만원과 자립지원 촉진 수당 10만원을 받는 한부모는 일부에 그친다. 지난해 국비·지방비로 도에 배정된 한부모 지원 예산은 16억4천200만원이다. 이중 지원된 예산은 12%인 2억1천만원에 불과했다.

지원 자체를 외면하는 실상에는 사회적으로 곱지않은 시선이 있다. 그래도 신원이 파악된 이들은 스스로 또는 지역 사회의 의지·노력 여하에 따라 주변과 소통하며 좀더 나은 생활을 할 수 있다. 우려가 큰 영역은 사각지대, 즉 움츠려 세상밖으로 나오기를 꺼려하는, 보이지 않는 영역이다. 확인되지 않은 미혼모·부가 경기도내에만 2천명이 넘는다는 추산이다. 신분을 밝히고 도움을 요청하기 전에는 어떤 지원도 할 수 없다.

청소년 미혼모·부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보듬는데 실패하면 사회적 비용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사회의 한 현상으로 인정하고 끌어내지 못하면, 정상적이지 못한 가족관계와 가난의 대물림 확률이 높아져 사회의 건전성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역사회가 이들을 적극적으로 찾아내 보살피는 돌보미 공통체가 돼야 건전한 건강한 복지사회로 성장할 수 있다. 사회 구성원이 정부가 긍정적인 마인드로 고민하고 해결해야 하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