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이경진기자]황해경제자유구역내 평택 포승지구사업을 비롯, 대다수 개발 사업이 사실상 백지화 위기에 직면하자 황해경제자유구역청(이하 황해청)의 기능과 역할에 비판의 화살이 꽂히고 있다. 특히 경기도가 삼성과의 협상을 통해 고덕산업단지 입주를 성공시킨 것과 비교되면서 5개지구 개발사업의 타당성에 대한 논란마저 일고 있다. ┃관련기사 3면.

황해청은 '환황해권 첨단기술산업 국제협력거점'이라는 비전을 갖고 지난 2008년 7월 출범했다.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황해경제자유구역에 들어서는 외투 기업은 각종 조세 감면과 규제 완화, 현금지원, 국·공유지 공급 특례 등의 혜택을 줬다. 그러나 4년동안 5개 지구로 나눠 추진되던 사업들은 우선협상대상자의 사업 포기 및 시행사 미선정 등으로 인해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특히 부동산 경기 침체로 투자처를 찾기 어려운 가운데다 주민들의 반발로 인해 '사업포기' 카드마저 내놓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황해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의 타당성·실효성에 대한 의문과 황해청의 사업운영 방식 등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사업 전체가 원점으로 돌아갈 것으로 전망되면서 황해청에 대해 '혈세먹는 애물단지'라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평택참여자치연대는 최근 성명서를 내고 "황해경제자유구역은 처음부터 실패가 예정됐던 사업이었다"며 황해청의 소극적이고 안이한 운영 방식을 비난했다.

경기도의 부담도 크다. 충남 당진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황해청은 129명의 정원 중 경기도청 직원 58명(계약직 7명 포함)과 충남도청 직원 60명이 근무하고 있고, 인건비 등 운영비가 매해마다 20억원 이상 투입되고 있지만 성과가 없기 때문이다.

황해청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 계획이 마련되지 않았다. 대책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