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로지 생존을 위한 점수 경쟁만이 있고 스승을 존경하거나 친구와의 우정을 존중한다는 인간적인 유대감은 어디서도 찾기 힘든 것이 우리의 학교 현장이다. 존경하는 스승이 없다는 것은 우리 모두의 불행이다. 존경하는 스승이 없는 곳에서는 사랑받는 제자도 있을 리 없다. 컴퓨터 게임 속으로 들어간 아이들 그리고 직업인으로 전락한 교사들 어디서도 사랑과 존경이 감도는 곳이 없다. 진정한 교육은 지식 교육이나 기술교육에 우선한다. 인간과 인간의 소통과 교감 속에서 삶의 지혜를 함께 하는 것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참 뜻이 생성된다. 한국 사회의 백년대계를 위해서는 진정한 열정을 지닌 교사들이 도처에서 자라나는 세대를 가르쳐야 한다. 최근 '멘토'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인들의 마음속에 있는 '군사부일체'와는 다른 의미를 갖고 있는 것 같다. 스승은 단순한 안내자나 충고자가 아니다. 인간성 전체를 함양하는 깊은 유대감을 지니고 있는 것이 우리가 말하는 스승의 상이다.
'스승의 날' 즈음해서, 초등학교를 졸업한지 거의 50년 만에 담임선생님을 모시고 동창회를 가졌다. 가난한 시절 열성적으로 우리를 이끌어주신 선생님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우리 모두 지니고 있었다. 구순에 가까우신 나이에도 아직도 건강한 선생님을 만났을 때 우리는 모두 초등학생으로 돌아가 있었다. 그 중에서 졸업 후 처음 만난 한 친구가 들려 준 이야기가 가슴을 파고들었다. 집으로 돌아와 담배 한 갑이라는 짧은 시 한 편을 썼다. "모두가 어려워 월사금커녕 시라기 죽도 제대로 못 먹던 시절 가정 방문 온 담임선생께 드릴 것이 없어 죄송하다며 고개를 들지 못하며 이것 저것 별 것 아닌 야채나 푸성귀 같은 것들을 부끄러워하며 담아드린 농투성이 학부모 중에 누군가가 등 돌리고 돌아가고 있는 그를 멀리서 선생님을 크게 소리쳐 부르며 달려 와 어렵게 내밀던 꼬깃꼬깃한 뜯지 않은 담배 한 갑, 그처럼 큰 선물은 평생 받아 본 적이 없다고 40년 시골에서 교편생활하고 퇴임했다는 한 초등학교 동창이, 아직도 내가 교단에 있다니, 50년 만에 만난 술자리에서 처음처럼 이야기해 주었다" 이 시를 쓰고 나니 아직도 교직에 버젓이 서 있는 나에게 허전한 마음이 몰려 왔다. 내 자신이 얼마나 열정을 가지고 교단에 서 왔는가 하는 반성이 들었기 때문이다. 신성한 교단을 철모르고 40여년 가까이 오르내리고 있었구나 하는 자괴감을 부정할 길 없었다. 열정적인 교사들이 사라지고 나면 교육무용론이 대두될 지도 모른다. 최근 한 교육 사이트에 학교제도의 문제점을 제시하라는 의견란을 만들어 놓았더니 교사들에 대한 비난의 글이 쇄도해 폐쇄했다는 보도를 보았다. 심각한 교육현장의 문제점을 돌아보며 스승 없는 스승의 날을 보내는 마음이 허전하고 쓸쓸하다. 현안의 핵심은 빼놓고 선심공세처럼 무상교육이나 무상급식에 매달리는 정치가들의 표심잡기 경쟁을 보면 교육문제는 더욱 암담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