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렬 (변호사)
슈퍼스타 K, 위대한 탄생을 필두로 시작된 열풍이 '나가수'로 꽃을 피우더니 이제는 각 분야와 장르에서 유사한 포맷의 프로그램이 연일 방송을 타고 있다. 세련되고 지나치게 훈련된 연예인들이 아닌 평범하지만 재능 있는 인재의 발굴이라는 취지의 시작은 훈훈했으나 요즈음은 지나친 경쟁으로 시청의 즐거움보다는 긴장의 피로도가 방송을 통해 전달됨을 느낀다.

현대인은 지치고 피곤하다. 일상의 육체적 분주함이 주된 원인이겠으나 지나친 경쟁, 비교의식, 상대적 빈곤감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다. 개인적으로 필자는 '생활의 달인'이라는 프로를 흥미 있게 보고 있다(특정 방송사의 선전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이 프로는 평범한 서민들이 소박한 삶의 현장에서 뜨거운 열정과 노력, 그리고 강한 의지와 지혜로 갖은 어려움을 이겨내고 자기분야에서 최고경지에 이른 감동적인 이야기를 진솔하게 보여주고 있다. 붕어빵 만들기의 달인, 자동차 세차 기술의 달인, 유리공예의 달인, 노래방의 달인 등 그 동안 소개된 달인들의 놀라운 실력과 기술을 보고 있노라면 나도 모르게 입이 쩍 벌어지고 탄성이 절로 터져 나온다. 물론 때로는 같은 분야의 달인들이 작은 시합을 하며 재미를 더하는 경우도 있으나 항상 보면서 느끼는 것은 그들은 순수하게 자신과의 싸움-좌절 실망 나태 등-에서 얻은 열매를 누리고 있다는 것이다. 오히려 자신이 싸우고 있다는 의식조차 없이 그저 묵묵히 주어진 '오늘'만을 성실히 살았을 것이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상상할 수 있다. 꼭 상대방을 이겨야 주어지는 승리는 아닌 것이다. 항상 마지막을 장식하는 그들의 꾸밈없는 만족한 웃음은 보는 이의 얼굴도 미소 짓게 한다. 그래서 이 프로를 보고나면 왠지 흐뭇하고 상대적 좌절감보다는 나도 열심히 해보고 싶다는 긍정적 마인드가 슬며시 싹튼다. 우직하고 미련하다싶을 정도로 한 길을 걸어온 그야말로 바보스러운 '달인'들의 삶이다.

일본에도 전문바보를 뜻하는 '센몬빠가'라는 용어가 있다. 한 분야에서 바보스럽게 몰입하는 사람을 말하는 것인데 결국 이 '센몬빠가'의 정신이 세계적인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일본 장인문화의 기반이자 기초과학분야에서 10여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원천이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세계적인 IT업체 애플사의 최고경영자 스티브 잡스는 2005년 스탠퍼드대 졸업축사에서 "stay hungry, stay foolish"하라고 말했다. 바보처럼 꿈꾸고, 바보처럼 상상하고, 바보처럼 모험하라고 역설하여 우직하고 바보스럽게 한 분야에 몰입하는 것이 곧 최고가 되는 길임을 강조하였다(차동엽 바보 존).

'생활의 달인' 주인공들은 스티브 잡스의 철학과 '센몬빠가' 정신을 한 발 앞서 실천한 이 시대의 영웅이요, 오늘날 세계 속에 우뚝 서 있는 대한민국의 저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생활의 달인'이 시청자에게 안겨 주는 또 하나의 선물은 주인공들이 보여 주는 진정한 겸손과 겸양의 자세에서 우러나오는 따뜻한 인간미와 잔잔하지만 진한 감동이다.

제작자들이 취재를 시작할 때 한결같이 '제가 무슨 달인이라고…'하며 수줍어하는 모습으로 촬영에 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필자는 이 대목에서 사기(史記)의 노담열전(老聃列傳)에 나오는 '양고심장약허(良賈深藏若虛), 군자성덕 용모약우(君子盛德 容貌若愚)'라는 대목을 떠올려 본다.

공자가 예(禮)에 대한 가르침을 받고자 노자를 찾았을 때 노자는 공자에게 "지혜로운 상인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좋은 물건은 깊숙이 감추어 두고 남에게 보이지 않고, 군자는 겉으로 보기에는 어리석은 사람처럼 하며 자신의 능력을 함부로 보이지 않는다오. 그대도 예(禮)를 빙자한 그 교만함과 겉치레를 버리시오"라고 일갈하였다. 공자는 돌아가 노자와의 만남을 묻는 제자들에게 "하늘을 잘 나는 새는 화살에 맞기 쉽고, 헤엄을 잘 치는 물고기는 낚시에 걸리기 쉬우며, 잘 달리는 짐승은 쉽게 잡을 수 있지만 용은 알 수조차 없느니라. 노자는 용처럼 정체를 알 수 없고 학덕은 심원하고 넓어 도저히 헤아릴 수 없는 사람이다"라고 설파하였다고 한다.

실로 용처럼 변화무쌍하고 가늠할 수 없는 노자의 용모와 학덕에 절로 숙연해 지거니와 이를 간파하고 큰 깨달음을 얻어 제자들에게 겸양의 덕목을 강조한 공자의 높은 안목 또한 감탄을 자아내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시공을 뛰어넘는 큰 가르침 앞에 스스로를 돌아보며 자문해 본다.

나는 과연 내 분야의 달인이라고 할 수 있나. 혹여 교만함과 과욕으로 남을 서운하게 했던 적은 없었던가. 요즘처럼 자칭 전문가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다시 한 번 스스로를 돌아보고 반성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