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대학입시에 입학사정관제를 실시하는 일반대학은 수시 기준 119개 대학으로, 모집인원은 3만8천83명이다. 이는 전체 모집인원의 10% 정도로, 매년 확대되고 있다. 전문대학도 2009년도 5개 대학에서 출발하여 2010년도에는 13개 대학에서 1천303명을 모집했고, 올해에는 20개 대학에서 1천505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입학사정관제는 대입전형 전문가인 입학사정관(Admission Officer)이 전형에 참여하여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이다. 이는 우리 교육의 큰 과제였던 공교육을 정상화시키고 사교육의 부담으로부터 학부모들을 자유롭게 할 목적에서 시행하였다. 따라서 기존 성적 위주의 획일적 선발(정량평가)을 개편해 학생의 잠재력과 대학의 설립이념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선발(정성평가)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수능, 각종 서류 등과 같이 다양한 전형요소를 활용하는 것은 대학의 선발과 고등학교 교육간의 연계가 미흡했던 문제를 해결하는 계기도 제공하였다. 또한 대학이 '선발경쟁'에서 '교육경쟁'으로 무게 중심을 옮기도록 견인하였다. 대학이 선발에만 치우치지 않고 선발한 학생에 대한 연구와 추후관리 등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것이다.
이 외에도 입학사정관제 도입 배경에는 학벌이나 학력보다 인성과 창의성, 실무 경력을 중시하는 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측면도 크다. 인재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인 셈이다. 공부 잘하는 학생만이 인재가 아니라, 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 도전의지와 봉사정신 등이 뛰어난 학생들도 21세기 사회가 원하는 인재라는 것이다. 특히 학생 개인의 능력보다는 그 배경에 의해 성적이 좌우되었던 현실에서 입학사정관제는 여러 학생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한국형 입학사정관제'를 보다 내실있게 실현하기 위한 과제도 만만치 않다. 지난 달 교과부와 대교협은 '2011년 입학사정관 지원사업'에서 60개 대학을 선정하여 총 325억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선도대학으로 선정한 30개 대학 중, 지난 해 입학사정관제 공통운영 지침을 위반해 국고 지원금을 환수한 4대 대학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입학사정관제 시행 초기 입학사정관제를 상위권 대학 혹은 수도권 대학들만의 전유물로 인식하던 일부의 우려는 많이 탈색되었지만, 여전히 입학사정관제가 특별전형에서 이름만 바꾼 무늬만 입학사정관제라는 비판도 비등하다. 또한 입학사정관제로 선발한 학생의 절반 이상은 일반전형으로 뽑아도 선발되었을 것이라는 통계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새로운 제도가 뿌리내리는 과정에서 겪는 통과의례로 보이지만, 대학의 책무성 확보 차원에서도 보다 체계적인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을 가늠하는 척도인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도 문제이다. 입학사정관제 운영지침을 체계화하고, 윤리강령과 이의신청 시스템 등을 가동하여 일선 고교와 학생들이 더욱 신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21.5% 정도에 머물러 있는 입학사정관들의 정규직 비율도 높여 안정적으로 전형준비와 평가에 임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도 입학사정관제 안착의 관건이다. 더불어 일반대학들이 정부의 전폭적인 관심과 재정지원 속에서 입학사정관제를 실시하고 있는 반면, 전문대학 입학사정관제는 전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대학이 전체 입학정원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대학이 보다 체계적으로 입학사정관제를 시행하기 위해서도 적정한 수준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행복한 삶에 대한 기준도, 그것을 실현하는 방식도 다양한 다원화 시대이다. 입학사정관제는 분명 다원화된 시대의 흐름을 적절히 반영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이 취지를 살려 한국형 입학사정관제를 안착시키기 위해서 각 대학들은 보다 책임있게 혁신을 실천하고, 정부에서는 전폭적 지원과 철저한 관리라는 운영의 묘를 잘 살려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