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주 남한강 이포보… 장마 끝난 공사현장 큰 피해없이 장마철을 보낸 여주 남한강 이포보 공사 현장. 서울국토청은 남한강 준설 효과로 홍수 위험이 줄었다고 밝혔지만 환경단체는 보 구조물로 물 흐름이 왜곡돼 준설로 인한 효과라는 분석은 섣부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십수일동안 장맛비가 전국을 훑고 지나 간 가운데 경기도내 구제역 매몰지, 4대강 구간을 둘러싸고 곳곳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지자체들은 "장마로 인한 피해는 없다"면서도 매몰지를 속속 이전했다.

또 4대강의 장맛비 피해 '원인'을 놓고도 환경단체들은 "유속이 빨라져 수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정부는"홍수예방 효과가 확인됐다"는 엇갈린 주장을 펴고 있다.

이에따라 장마가 완전히 물러난 뒤 본격 무더위가 시작되면, 구제역 매몰지와 남한강 여주보 등을 둘러싼 공방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17일 국토해양부와 경기도,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시작된 장마는 지난 14일까지 중부지방이 평균 717.7㎜의 강우량을 나타내며 지난 30년동안의 평균값 205.1㎜의 3.5배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지난해 말부터 올 초까지 구제역으로 홍역을 치른 도내 지자체들은 비상사태에 돌입한 가운데 '침출수 유출은 없다'고 강변하면서도 침출수 유출 논란이 일었던 매몰지는 서둘러 보강공사를 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전해 왔다.

침출수 유출에 따른 것은 아니지만, 도내에서 붕괴 우려 등으로 이전된 구제역 매몰지는 안성 9곳, 용인 5곳, 이천 3곳 등 모두 34곳에 이른다.

장마로 피해를 본 4대강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달 30일 여주군 남한강 강천보 임시물막이 150m 구간이 유실되기도 하는 등 피해가 잇따르자 환경단체들은 "교각 붕괴나 둑 유실, 침수 등 곳곳에서 벌어진 수해가 준설과 하천 직선화에 따른 유속 증가와 부실 설계·시공이 원인이 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국토해양부와 해당 지자체들은 "공사가 끝나지 않아 홍수에 취약한 상황에서 기록적으로 많은 비가 내린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며, 남한강 여주 2.54m 등 준설 덕분에 홍수위가 그나마 낮아져 농경지·가옥 침수를 예방할 수 있었다"고 반박했다.

/이경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