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탁계석 (한국예술비평가협회장 음악평론가)
우리가 즐겨 찾는 노래방 열기가 머지않아 국민합창운동에 옮겨 붙을 태세다. 각지에서 많은 합창경연대회가 열리고 방송에서도 '남자의 자격 합창단'에 이어 '청춘합창단'이 오디션을 마쳤다. 청춘합창단 응시자들의 제 각각의 사연을 보는 시청자의 눈시울이 뜨겁다. 그 뿐인가. 가수가 되고 싶어 수만 명이 장사진을 치는 광경이 방송의 전파력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유독 노래와 춤을 좋아하는 가무(歌舞) 민족의 원형질(DNA)을 타고난 때문이라고 본다. 일본에서 가라오케가 노래방 형태로 상륙한 이후 가공할 속도로 확산되었고 음주 후에 즐기는 국민 오락이 된지 오래다. 숨 가쁜 산업화, 근대화를 거치면서 노래방은 스트레스 해소의 탈출구요 가장 수월한 사교 공간이었다. 그런 '노래방'은 한국인 특성인 '폭탄주'와 함께 '빨리 빨리'의 속성을 가장 잘 빼닮았다. 시간과 비용의 효율성을 잘 갖춘 소통 구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세상은 변해 G20정상회의를 치렀고, 국가브랜드를 생각하는 고급화, 선진화의 길목에 서서히 일상 소비문화에도 변화가 엿보인다. 우리가 밖에 내놓은 한류문화의 반응에 우리 스스로 놀라면서 자긍심과 함께 그동안 획일적으로 답습해 온 것들을 새로 보고 보다 양질의 문화 트렌드를 찾아야 할 때다.

우리는 세계 어디에도 없는 '방(room)문화' 강국이다. 유럽 사교문화의 상징인 '살롱'이 들어 왔지만 본질이 왜곡된 채 '룸살롱'이 되어 버렸다. 전화방, PC방, 찜질방, 키스방, 온통 밀폐된 방 천국이고 경찰과 담당 공무원들이 불법 단속을 하지만 업주들의 신출귀몰한 아이디어엔 늘 박자가 늦다. 사실 군사정권 시절 '댄스' 역시 오랫동안 금기로 여겨져 오다 '스포츠댄스'란 이름으로 사면 복권된 후 지금은 세상의 모든 춤을 추는 자유시대를 맞지 않았는가. 수준 높은 문화는 낮은 문화를 끌어올리는 강한 힘이 있는데 일단 맛을 보게 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다. 아무리 그림에 문외한이라도 오랫동안 좋은 그림을 벽에 붙였다 떼면 그 때 허전함을 느끼는 것처럼 미의 경험을 통해 눈이 높아지면 저급한 것에 등을 돌리게 되는 이치다.

이런 원인적 처방을 하면 사회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아름다운 환경에서는 범죄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 역시 미(美)에 담겨진 자정능력 때문이다. 마음이 고상하고 고급한 정서를 많이 느끼면 내면의 것이 그대로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스트레스를 푸는 데는 크게 발산(發散)과 승화(昇華)의 두 개념이 있는데 전자는 스포츠, 오락 개념이고 후자는 내면에 호소하는 예술의 몫이다.

합창은 남의 소리를 들으며 자기 소리를 억제해서 좋은 화음을 만들어 낼 수 있기에 인격적인 존중이 없으면 연습이 되지 않는다. 때문에 합창이 발달한 사회는 그만큼 성숙할 수 있고 네트워크 능력을 올릴 수 있다. 가까운 일본은 솔로(Solo)엔 약하지만 모여야 하는 합창(Chorus)에 강해 수적으로도 엄청나다. 양질의 문화는 체험의 산물이고 배우지 않으면 즐길 수 없다. 학창시절 합창반을 못잊어 직장인이 되어서 다시 동아리를 결성하는 것을 보면서 어린이와 청소년 교육의 중요함을 새삼 느꼈다. 사실 술에 취해서 부르는 노래 보다 하모니 합창을 해보면 왜 이토록 멋진 노래를 모르고 지내 왔을까 후회한다고 한다. 국민들 모두 1인(人)1기(技)의 기능을 배우면 삶도 윤택해지고 즐기는 방식도 달라진다.

우리사회가 선진화되려면 자기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구성원의 하모니를 융합해 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정치가들도 단상을 점유하거나 해머로 문을 따는 돌격대 이미지 대신 위트와 유머의 세련된 멋을 풍긴다면 얼마나 좋을까. 필자는 외환위기(IMF) 때 실의에 빠진 아버지들을 위해 '아버지합창단'을 창단했는데 지금 10개가 넘는 합창단이 아름다운 사회봉사를 하고 있다. 히틀러는 전후 독일의 통합을 합창으로 이뤄냈지만, 우리는 노래방 선수(?)들이 열린합창 공간으로 이동한다면 더 멋진 능력을 꽃피울 수 있을 것이다. 개인과 사회가 밝아지면 튼튼한 문화강국이 되지 않겠는가. 잘 지어진 공공의 유휴 공간을 활용하고 밤에는 쉬는 예식장도 합창의 꿈을 펼칠 멋진 공간이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