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가 7개 저축은행을 부실 금융기관으로 결정, 6개월간 영업정지 조치를 내린 18일 오후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에이스저축은행 본사 앞에 불안한 예금자들이 몰려들고 있다. /임순석기자

1998년 경기은행 이후 13년만에 인천 금융기관이 퇴출 위기에 빠졌다. 작년 말 기준으로 총자산 1조원대인 에이스저축은행의 영업정지가 발표되면서 인천 금융계는 충격에 빠졌고, 향후 지역에서 '금융대란'이 있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오늘부터 45일 안에 '자체 경영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에이스저축은행은 '제3자 매각' 등의 방식으로 사라지게 된다.

18일 인천의 금융계 인사는 "에이스저축은행은 좀 의외다. 소문도 없었다"며 "혹 다른 저축은행으로 여파가 미칠까봐 우려가 된다. 제일 걱정되는 게 이거다"고 했다. 올 상반기 부산발 저축은행 사태의 경험이 있어 큰 동요는 없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지역 금융계에 미칠 파급효과를 걱정했다.

다른 금융계 인사 역시 "에이스(저축은행)는 결코 나쁘지 않았다. 부실 징후도 없었다. 의외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영업정지 조치는 부산 사태 이후 엄격하게 적용한 PF기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며 "금융 당국에서 원칙적으로 접근해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했다.

인천 제1금융권의 한 고위 간부는 예금인출 사태를 우려했다. 그는 "앞으로 타 은행의 인출사태를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며 "저축은행과 금융기관간 소비자들의 예금 이동이 잦아질 것 같고, 이 과정에서 혼란이 있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했다.

업계에서는 에이스저축은행의 투자 포트폴리오가 PF대출 위주로 돼 있다는 시각이 많았다. 가계·담보대출보다 PF에 주력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금융 당국이 너무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고, 은행쪽 의견을 반영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많았다.

에이스저축은행의 위기는 인천 서민금융의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에이스저축은행은 인천에 본점을 둔 6개 저축은행 총자산의 20%가량을 차지한다. 인천뿐 아니라 전국의 저축은행들이 가계대출, 금융소외계층 지원에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건 사실이다. 하지만 인천 금융기관의 사회공헌 기능, 지역에 기반을 둔 금융 서비스 등을 생각하면 에이스저축은행의 지역 기여도를 무시할 수는 없다. 또 에이스저축은행의 위기가 경기은행 퇴출 이후 '인천 시민을 위한 은행'을 만들어야 한다는 여론에 찬물을 끼얹을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금융 당국의 영업정지 발표 후 에이스저축은행은 예금보험공사가 계약한 경비업체 직원 10여명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임원들의 직무는 정지됐다. 기존 직원들은 예금 잔액 조회, 만기 안내 등의 업무만 할 수 있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경찰도 상주하고 있다.

에이스저축은행의 정상화 여부는 향후 45일 내에 판가름난다. 인천시민과 금융·경제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명래·김성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