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직 교육공무원의 일반직 전환 시험을 앞두고 특혜 논란(경인일보 10월 10일자 22면 보도)이 일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교육청이 사실상 '동일 계급 전환'을 확정하면서 일반직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시교육청지부가 일반직·기능직 통합 노조에서 일반직 단일 노조로 전환을 공식적으로 추진키로 한 가운데, 도교육청에서는 일반직들이 별도의 일반직 노조 조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9일 도교육청 및 교육공무원들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20일 '사무기능직 공무원 일반직 경력경쟁임용시험 시행계획'을 공고하고 내년초 기능직 378명을 일반직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당초 전환 규모를 기능직 각 계급별 정원의 20%로 잡았다가, 최종적으로 6~7급의 전환 규모를 줄이는 대신 기능직 현원이 많은 8급의 전환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

하지만 도교육청 일반직들은 이같은 도교육청의 '동일 계급 전환' 방침에 집단 반발하고 있다. 특히 전환 규모가 늘어난 일반직 8급을 중심으로 전공노 경기도교육청지부를 탈퇴하고 일반직 노조를 조직하려는 움직임까지 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평 전환을 반대해 온 전공노 서울교육청지부가 서울교육청지부를 일반직 노조로 전환하는 조합원 총투표를 진행키로 한 소식이 이같은 움직임에 불을 붙였다.

도교육청의 한 일반직 직원은 "기능직을 동일 계급으로 전환하는 것은 사회 근간을 흔드는 것"이라며 "일부 기능직들은 일반직으로 전환돼도 현 업무 유지를 주장하기까지 한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기능직 8급의 전환을 늘린 것은 현원이 정원의 2배 이상 되는 현실을 감안한 것"이라며 "현 계급보다 아래 계급으로도 응시가 가능한 만큼 무조건 수평 전환이라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문성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