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우야! 그리고 광욱아! 가슴에 너희를 묻으며 약속한다. 내 조국, 우리나라 이 땅, 이 바다, 우리가 기필코 지켜내겠다고"
비가 흩뿌린 23일 국립대전현충원에는 연평도 해병대원 박성요 하사가 1년 전 북한의 포격 도발로 숨진 고(故)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을 부르는 소리가 애절하게 울려퍼졌다.
전사자 유족과 해병부대원 뿐 아니라 김황식 국무총리, 박근혜 전(前) 한나라당 대표를 비롯한 각계 대표 등 3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수된 이날 1주기 추모식은 국민의례, 영상물 상영, 헌화 및 분향, 추모사 낭독 등 순으로 진행됐다.

추모식 내내 유족들은 군복차림 아들의 영정사진을 바라보며 흐느꼈고 특히 헌화ㆍ분향하던 서 하사의 아버지는 아들의 이름을 수차례 목놓아 불렀다.
김 총리는 추모사를 통해 "포탄이 빗발치는 상황에서도 목숨을 바쳐 조국을 지킨 전사자들과 억울하게 희생되신 분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어떠한 위기에서도 대한민국을 지켜내야 할 책임이 있다"면서 "굳건한 안보 위에 이 땅을 평화와 번영의 땅으로 만드는 것이야말로 호국영령들의 헌신에 보답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추모사를 듣고 있던 해병대원들의 눈에서는 북한의 도발로 우리 국민이 희생되는 악순환을 반드시 끊고야 말겠다는 의지가 불타올랐다.

추모사 후에는 고인의 넋을 위로하는 진혼무와 합창 등이 이어졌다.
한편 대전현충원은 오는 25일까지 매일 오전 11시 서 하사와 문 일병 묘역 앞에서 진혼곡을 연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