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3일 인천 서구문화회관에서 루원시티 정상화를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자들은 인천시와 LH가 공공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나라당 이학재 의원실
1년6개월째 지지부진한 루원시티 사업의 정상화를 위해선 공공과 민간의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23일 한나라당 이학재(서·강화갑) 의원실 주최로 열린 '루원시티 정상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아주대 건축학부 김지엽 교수는 "루원시티 사업의 정상화를 위해선 인천시와 LH의 책임있는 행정이 요구된다"며 "사업 추진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공공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에서 공공의 역할'이란 주제로 발제를 한 김 교수는 "기존 도시개발사업 방식과 체계로는 한계가 있으며, 토지임대방식, 공공 파이낸싱, 전담 공공기구 설치 등 보다 선진화된 도시개발기법 등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며 "공공(인천시·LH)은 단순한 토지공급자나 인허가권자가 아닌 해당 사업을 위해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민간개발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원광대 법학전문대학원 류권홍 교수는 "사업계획 차질로 주민 재산권 및 생활불편을 야기한 인천시와 LH는 각성하고, 시민의 신뢰를 회복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인천시청이나 복합환승시설 등 사업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앵커시설 유치로 루원시티를 회생시킬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가정오거리 정상화 범시민대책위원회 윤지상 사무총장은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포기로 루원시티의 핵심인 복합입체도시는 반쪽짜리가 될 것이기 때문에 사업을 준공하더라도 투자메리트는 떨어질 수밖에 없고, 낮은 보상비 때문에 원주민도 외면할 것"이라며 "낮아진 사업성을 제고하기 위해선 인천시청 등 굵직한 앵커시설을 유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창열 인천시 지역개발과장은 "루원시티 개발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핵심 앵커시설의 유치와 더불어 복합환승시스템 도입이 절실하다"며 "현재 이러한 사업계획을 반영한 개발계획변경 수립을 2012년 상반기에 마무리하고 2012년 10월에 기반시설공사가 착수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루원시티는 서구 가정오거리 일대 구도심(97만1천892㎡·1만409가구)을 전면 철거하고, 1만1천200여가구의 아파트를 포함한 첨단 입체복합도시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2006년 8월부터 추진됐다. 공동시행사인 인천시와 LH는 지난해 말 1조7천여억원 규모의 보상까지 마무리했지만 사업은 사실상 중단 상태다.

/김민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