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미은하레일의 안전과 직결된 핵심 시설인 가이드레일을 자격없는 무등록업체인 S사가 시공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경인일보 1월 12일자 1·3면 보도), 경찰이 한신공영과 S사와의 관계 등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이와 맞물려 월미은하레일 건설과 관련해 제기된 의혹에 대한 철저한 수사 및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지역사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월미은하레일과 관련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인천중부경찰서는 12일 "한신공영과 하도급업체인 S사의 유착관계 등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S사는 월미은하레일의 가이드레일과 전동선 공사를 맡았다. 이를 위해서는 철도·궤도 공사업(가이드레일)과 전기공사업(전동선) 두 가지 업종으로 등록돼 있어야 하지만, S사는 이들 두 가지 모두 등록이 안 된 상태였다. 특히 S사가 시공한 Y자 가이드레일은 바퀴 사이에서 차량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하는, 안전과 직결돼 있는 시설이다. S사는 6.1㎞에 이르는 월미은하레일 전 구간의 가이드레일을 시공했다.

경찰은 S사와 한신공영이 계약을 한 배경, 감리단이 이를 묵인했을 가능성 등에 대해 수사한다는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진정서를 토대로 감리부문에 대한 수사를 진행했으나, 지금부터는 수사과정에서 드러난 여러 의혹에 대해 수사를 진행하게 될 것"이라며 "한신공영이 무등록 업체인 S사와 계약한 이유나 돈관계가 있었는지 여부 등에 대해 수사가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또 "시민들의 이목이 집중돼 있는 만큼, S사 시공의 적절성 여부에 대해 중앙행정기관과 업계전문가 등에게 자문을 구했다"고 밝혔다.

인천 지역사회는 철저한 수사와 함께 관련자 처벌을 요구했다.

통합진보당은 이날 성명을 내고 "월미은하레일의 부실시공 및 부실감독과 관련된 모든 의혹에 대해 관련 기관은 진상을 철저히 조사하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평화와참여로가는 인천연대 장금석 사무처장도 "무엇보다 안전이 최우선이며, 이번에 부실감리 부분이 추가로 드러난 만큼, 모든 의혹이 밝혀져야 한다"며 "또한 이와 관련, 책임이 있는 사람에게는 책임을 물어야 된다"고 말했다.

/정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