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치개혁특위는 26일 선거구획정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공직선거관계법 심사소위를 열고, 경기 파주와 강원 원주를 분구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전해졌다.
분구 지역을 더 늘리지 않고 최대한 줄이는 선에서 마무리한 것으로 해석된다.
당초 인구 상하한선 기준을 3대1 기준에서 2.3대1로 축소해 하한선은 높이고 상한선을 낮추는 선에서 합의점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이날 소위에선 파주·원주의 분구는 잠정 결정됐다.
그러나 용인기흥의 경우 동백동·중동을 용인처인 선거구에 포함시키는 문제와 이천·여주 선거구 분구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용인기흥은 선거구를 늘리지 않는 범위에서 가닥이 쉽게 잡혔지만 여주·이천 선거구는 이견이 노출됐다.
여주·이천을 분구할 것인지 존치할 것인지, 혹은 여주를 양평·가평 선거구에 포함시키는 방안 등을 둘러싸고 여야 의원간 격론이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정개특위의 한 관계자는 "여주·이천의 경우 인구 상한선을 조금 넘지만 그대로 두자는 의견도 있었고, 분구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문제는 여주 인구가 하한선 11만2천명에 미달하기 때문에 여주 독립선거구는 어렵고, 여주를 인근 양평·가평에 붙이는 방안을 제안해 찬반이 갈리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여주는 양평·가평으로 합구되는 쪽으로 기우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당초 국회 선거구획정위가 경기도내 수원권선, 용인기흥, 파주, 여주·이천 선거구의 분구를 정개특위에 권고했지만 분구가 이뤄지는 도내 선거구는 파주 한 곳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정개특위가 비수도권 지역의 통합선거구를 살리기 위해 또다시 누더기 선거구 획정을 자초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정개특위는 30일 공선법 소위를 열어 이날 잠정 결정된 선거구획정안을 다시 논의한 뒤 31일 정개특위 전체회의에 상정할 계획이다.
/이호승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