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가 국립대 전환 초창기,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려면 내년 1월까지는 이런 문제들을 깨끗이 정리해야 잡음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 상황에선 인천시와의 자산 분할 문제를 비롯해 정부의 예산 지원 등 중요 부분들이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는 이달 안에 법인화 지원팀을 별도로 구성, 이 같은 문제를 풀어나갈 계획이다.
■ 법인화 최대 난관, 자산 분할 문제
시립 인천대가 국립대학 법인으로 바뀌면, 지금까지 인천시 소유였던 대학 땅과 건물 등 여러 자산을 인천대 법인으로 넘겨줘야 한다. 인천시는 지난 2006년 남구 도화동(옛 제물포 캠퍼스)에 있던 인천대를 송도로 옮기고 이 땅을 개발하는 도화구역 사업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시는 사업 시행자였던 인천도시개발공사에 인천대 토지(87만8천㎡·969억원)를 출자해 줬는데 인천대는 법인화되면 이 땅을 돌려 달라는 입장이다.
자금난을 겪고 있는 도시개발공사는 인천대로부터 출자받은 토지 중 알짜배기인 충무로 땅(304㎡·180억원) 등을 이미 매각한 상태다.
재정난을 겪고 있는 현재 인천시 상황으론 1천억원대에 육박하는 이 자산을 돌려줄 여력이 없다. 시는 인천대의 법인화 과정에서 가장 큰 난관을 이 같은 자산 분할 문제로 꼽고 있다.
■ 인천대 직원 신분·회계처리 변화
인천대가 법인으로 바뀌면 인천대 교직원의 신분도 공무원 등에서 법인 직원으로 전환된다. 현재 인천대에는 인천시 공무원 90명 정도가 파견나가 있다. 법인화되면 이들은 공무원 신분을 포기하고 인천대에 남든가 아니면 시로 다시 복귀해야 한다. 현재 상황으론 인천대에 나가 있는 시 공무원 중 상당수가 복귀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월급과 휴가 등 처우가 좋은 인천대에 남으려는 공무원 수가 많은 것이다.
인천대의 회계 시스템도 변화된다. 시에서 지원을 받는 특별회계와 기성회계 등으로 분리돼 있는 회계 시스템이 법인 회계로 통합돼 운영된다.
이 과정에서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기성회계 부분을 어떻게 처리해 통합할지도 인천대의 고민거리 중 하나다.
인천대 관계자는 "내년 1월까지 인천시와 협의를 해 차근차근 문제를 해결해 나갈 방침이다"라며 "지금이 중요한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