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GPS(위성 위치정보 시스템) 전파 교란 공격이 더욱 강해지고 수법도 교묘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GPS 관련 전문가들은 정부가 하루빨리 북한의 전자전에 대비한 방어체계 구축과 기술 개발 등을 서둘러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상정 충남대 교수는 "현재 표면적으로 드러난 피해는 모두 민간 항공기와 선박들이지만, 북측이 전파 세기를 한층 높인다면 전투기나 함정 등 군(軍) 핵심 무기도 피해를 볼 수 있다"라며 "이번 기회에 범정부 차원의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이상욱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위성항법연구팀장은 6일 "지난해 발생한 북한의 GPS전파 교란 공격은 전파 주기가 일정하고 직선형태로 남한에 도달해 예측가능하고, 파괴력도 크지 않았다"며 "그러나 지난달 28일부터 시작된 GPS방해 전파는 주기가 불규칙하고 전파 세기도 강해 북한의 교란전파 기술이 한층 진보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3월 발생한 북한의 GPS전파 교란으로 항공기 106대와 선박 10여대가 피해를 본것으로 정부는 발표했다. 하지만 지난달 28일부터 시작된 북한의 GPS전파 교란으로 400여 대의 항공기와 선박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정부는 파악했다. 선박의 경우 인천항 인근 뿐만 아니라 충남 대산항 근처에서도 GPS 교란 신호가 잡히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 규모가 커졌고 범위도 넓어진 것이다.

허문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팀장은 "GPS전파 교란 기술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어려운 일은 아니다"라며 "최근 북한이 쏘고 있는 GPS방해 전파를 봤을 때 북측이 이 부분에 많은 투자를 했을 수도 있다"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앞으로 더욱 고도화된 전자전 전략을 펼친다면 우리나라가 앉아서 당할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이에 대해 적극적인 대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편, 북한은 GPS 교란 전파 발사 이후 첫 반응을 내놨다. 북한조선중앙통신이 지난 3일 "우주정복은 그 누구도 침해할 수 없는 자주적 권리다"라며 "전지구위치측정체계(GPS)를 통한 미국의 세계지배책동과 그에 맞선 여러 나라의 독자적인 체계개발 노력이 그 대표적 실례다"라고 발표한 것이다.

/김명호·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