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국제도시 무인헬기 추락사고'와 관련, 정보 당국과 군이 사고 과정을 밝혀 의혹을 풀고 유사사고를 방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민주통합당 최재성(남양주갑·정보위원회 간사) 의원은 20일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 각 기관에 확인한 결과, (사고가 발생한 지) 10일이 넘도록 의혹만 있고 제대로 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스트리아 '쉬벨사'가 만든 무인헬기(S-100) 1대가 지난 10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시험비행 도중 '조종차량'으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외국인 원격조종사 1명이 숨지고 한국인 2명이 다쳤다. 하지만 정보당국, 해군, 국토해양부 항공철도선박조사위원회 모두 "조사 권한이 없다"며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 의원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항공철도선박조사위는 무인헬기가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는 비행기이기 때문에 군(軍)이 조사권한을 갖고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가정보원은 "해군이 운용하는 비행기로, (우리는) 조사 권한이 없다", 해군은 "업체 소유 비행기로, 자체 시험비행 중 발생한 사고여서 조사 권한이 군에 없다"는 입장을 지키고 있다.
최 의원은 "사고발생 초기, 각 기관간 책임 떠넘기기로 정확한 사고조사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무인헬기 비행을 누가 승인했는지 ▲승인없이 비행이 이뤄졌다면, 해군은 불법 비행에 아무 협조가 없었는지 ▲군은 시험비행에 아무런 보안 조치도 하지 않았는지 ▲제조사가 'GPS 수신 불능'에 의한 사고로 1차 결론을 내린 상태에서 정보당국은 왜 조사하지 않는지 등의 의문이 있다고 했다.
/목동훈기자
"무인헬기 추락 사고원인 밝혀라"
최재성의원, 정보당국·軍 책임떠넘기기 질책
입력 2012-05-21 00:5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2-05-21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무인헬기 추락원인 GPS 수신불능"
2012-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