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교육계가 풀어야 할 현안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인천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 학력 수준을 끌어올리는데 지역사회가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또 사안에 따라 교육을 바라보는 가치관의 차이에서 불거지는 여러 갈등을 어떻게 봉합해 나가느냐도 관건이다. '초대 직선제 교육감'은 그래서 더 큰 의미로 와닿는다.

■ 초라한 성적표…각기 다른 시선들

인천은 2012학년도 수능시험에서도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인천은 '수리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 표준점수에서 전국 꼴찌를 기록했다. 영역별 상위 1·2등급 비율도 전국 최하위 수준이었다. 지역·학교간 수능 성적 격차도 컸다. 물론 예년과 달리 수리가와 수리나 평균 표준점수가 전년도에 비해 크게 향상되는 등 나름의 성과도 있었다.

인천 수능 성적이 저조한 이유로는 '수시 중심의 대입 전략'과 '우수 학생들의 유출' 등이 꼽힌다. 또 정시보다는 수시에 집중하는 대입 전략을 펴고 있는 영향도 있다. 시교육청은 수능 꼴찌 탈출을 위한 역점사업으로 '학력향상 선도학교' 등을 추진중이다. 이를 놓고 일각에서는 입시경쟁을 과열시키고 학교 서열화를 부추긴다는 지적도 있다.

시교육청은 또 수능 성적 등 인천 학력 향상을 위한 주요 인프라로 '고교 기숙사'를 꼽는다. 하지만 공감대 형성이 부족했다. 인천시 재정난 속에서 소위 '공부 잘하는' 소수의 학생만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으려 한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이다. 결국 시교육청이 편성한 기숙사 건립 추경예산은 최근 인천시의회에서 또다시 전액 삭감됐다.

■ '갈등의 불씨' 학력 향상이냐, 학생 인권이냐

올초부터 시교육청 안팎이 시끌시끌했다. 일부 과목의 경우 기말고사를 개학후에 치르도록 하는 방안을 놓고 찬반 논란이 불거진 것이다. 시교육청의 이른바, '학사일정 선진화' 계획이 도마에 오른 것이다. 시교육청은 기말고사 시험 일정이 발표되면 정규 수업이 부실해지고, 중하위권 학생들이 방학때 공부와 담을 쌓는 경우가 많아 지도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이같은 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이 가중될 것이란 반대 여론이 크다. 시교육청은 각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토록 권고했으나, 일부 학교가 개학후 기말고사를 보지 않기로 했다가 번복하는 등 파행이 빚어졌다. 이번 여름방학이 끝나면 일부 학교들은 첫 '개학 후 기말고사'를 치르게 된다.

학습선택권도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해 학생들이 방과후학교 참여 여부 등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조례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1교시 정규 수업시간 앞당기기'나 '국영수 종합반 방과후학교' 등과 같이 변칙적이고 반강제적인 학사 운영을 하는 학교들이 적지 않다. 인천시의회 한 의원은 "학교는 시교육청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며 "또 시교육청은 알고도 묵인하고 있기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 초대 직선제 교육감, 시민사회의 중간 평가는?

나근형 교육감에 대한 평가는 크게 엇갈린다. 오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행정을 안정적이고 일관성있게 이끌어가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다. 반면에 시민사회 등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소통하려는 노력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다. 최근 전교조 인천지부는 초대 직선제 교육감의 지난 2년 교육정책에 대해 5점 만점에 1.88점을 줬다. 학생과 교사·일반시민 등 716명을 대상으로 교육환경, 학교폭력 근절, 교육행정 업무 경감, 사교육비 절감, 학생인권 신장 등의 항목에 대해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해 점수로 환산한 결과치다. "교원평가로 치면 장기간 능력 향상 연수를 받아야 하는 점수다"는 혹평이었다. 하지만 설문 응답자들은 무상급식 실시, 학습선택권 보장, 공립형 대안학교(인천해밀학교) 개교 등을 나 교육감의 주요 성과로 인정했다.

/임승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