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인천대교에서 2009년 개통 이후 4번째 추락 사고가 일어났다. 인천대교가 '자살대교'라는 오명을 씻기 위해서라도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9일 인천대교에서 투신 자살한 A씨가 인천대교 갓길에 정차했던 것은 오전 3시30분께. CCTV를 통해 A씨를 발견한 인천대교측이 경고방송을 하고, 5분 만에 순찰대가 현장에 도착했지만 A씨는 이미 몸을 던진 뒤였다.

인천해양경찰서는 오전 3시42분 신고를 받고 경비정을 출동시켰다. 경비정은 오전 4시5분께 사고 현장에 도착했지만 A씨를 해상에서 찾아 구조하기에는 늦은 시간이었다.

앞서 인천대교는 투신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순찰을 강화하고 갓길에 주정차하는 차량을 인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또 상황별 매뉴얼을 마련해 소방서, 해양경찰서, 고속도로순찰대에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순식간에 바다로 뛰어드는 사람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높은 난간이나 펜스를 설치하는 게 효과적이지만 이런 시설물은 강풍이 불면 날아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설치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지책 마련을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서울시 도시안전과에 따르면 한강 다리들은 한강소방재난본부 수상 구조대가 24시간 대기하면서 투신 자살을 하거나 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이 발생하면 5분 이내에 출동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서울에서 가장 많은 투신 자살사건이 발생하고 있는 마포대교의 경우, 보험회사에서 예산 지원을 받아 '생명의 다리'로 만드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불빛이 자동으로 다리 위를 걸어가는 사람을 비추게 해 멀리서도 투신 자살이 발생했는지 인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도 이 사업에 포함되어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하철의 스크린도어처럼 완벽하게 자살을 막기는 어렵겠지만 이런 시스템이 있으면 자살을 줄일 수는 있다. 5분 내 출동 같은 경우에는 많은 목숨을 살렸다"며 "예산이 들어가겠지만 산술적으로 따질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현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