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평택항 여객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신규 여객부두 건설 등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이 때문에 지난 2006년부터 평택항 신(新)국제여객부두 사업이 추진돼 왔지만, 6년째 단 한걸음도 떼지 못한 상태다. 정부재정사업과 민간투자사업(BTO) 등 사업방식에 대한 핑퐁 논의만 벌이면서 신규 계획은 서류더미에 묻혀져 갔다.

재정-민자 사업방식 '핑퐁'
정부 추진의지 실종이 원인
설계비 누락 정치권도 한몫
2014년 착공도 사실상 무산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이 열악한 '외딴섬'이 된 것은 정부의 사업 추진 의지 실종에서 비롯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말로만 요란했던 지자체와 무능했던 지역정치권도 한몫 했다. 그 사이 경쟁항인 부산항과 인천항은 수백억원의 정부 예산을 지원받아 신규 여객부두 건설사업을 추진, 초라한 평택항과 더욱 대조된다. ┃관련기사 3면

국토해양부 및 경기도·평택항 관계자 등에 따르면 평택항 신규 여객부두 건립 계획이 추진된 것은 2006년. 항만기본계획에 따라 2009년 공사에 착공, 2013년까지 신국제여객터미널 등을 개발한다는 청사진이었다.

열악한 정부 재정을 고려해 민간투자방식이 제안됐지만, 경제상황 악화로 민자사업 추진이 어려웠다. 이에 2010년 국토부는 정부재정사업으로 전환키로 하고 기획재정부에 실시설계 반영을 요구했지만, 민자사업공고후 사업자 미달시에 재정사업으로 추진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

국제여객부두에 대한 국비 확보 여론이 들끓자, 지난해 국회 국토해양위원회는 실시설계비 39억원을 반영했다. 그러나 이마저 국회 예결위에서 누락되면서 사업이 공중에 떠버렸다.

신규 국제여객부두 건립이 다시 수면위로 떠오른 것은 지난 3월. 국토부는 2014년 공사가 착공될 수 있도록 기재부 민간투자심의위를 거쳐, 7월 시설사업기본계획을 고시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 사업타당성 검토조차 완료되지 못했다. 2014년 착공해 2015년 새로운 여객부두를 마련한다는 꿈은 사실상 물거품이 됐다. 뒤늦게 사업 고시가 되더라도 민간사업자를 찾지 못해 또다시 재정사업으로 전환될 경우, 계획만 수년동안 짜야 할 판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 재정문제로 민자방식이 재추진됐다"며 "민자사업도 정부 투자가 일정 비율 들어가기 때문에 정부재정투자 순위에 뒤처진 이 사업의 조속한 추진은 쉽지 않다"고 했다.

/김종호·김태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