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감시활동 강화는 내년 3월 말 다시 재개된다. 수도권 각 지자체는 쓰레기대란을 또다시 겪지 않기 위해 대책마련에 나섰지만 뾰족한 수가 없는 실정이다.

수도권매립지에 쓰레기를 반입하는 지역은 서울(25개 구)·인천(9개 군·구)·경기(24개 시)의 58개 지자체다. 이들 지자체는 수도권매립지 반입기준을 맞추기 위해선 배출자인 주민들의 노력이 가장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 때문에 지자체가 내놓은 해답도 '주민홍보'에만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기사 3면

각 지자체는 쓰레기 대란이 본격화된 지난 9월부터 홍보 전단지를 만들어 주민들에게 배부하거나 통장과 아파트 입주자협의회를 통해 분리배출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 제도적인 개선도 고려했지만, 효율성이 떨어져 근본적인 해답이 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인천시 남동구 관계자는 "가장 큰 문제인 1인 가구 음식물 혼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1ℓ짜리 저용량 음식물쓰레기 봉투 제작 등을 고려해봤지만 단가문제 등 실효성이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며 "결국 직접 주민들을 만나 분리배출의 중요성을 홍보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했다.

계양구 관계자는 "한동안은 환경미화원이 수거한 공공용 쓰레기 봉투를 열어 하나하나 선별작업을 한 적이 있었는데, 결국 그만두게 됐다"며 "인력과 시간도 많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선별할 때 악취가 나 민원이 우려된다"고 했다.

홍보가 가장 중요한 수단이지만, 정작 예산과 인력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 금천구 등 일부 지자체는 홍보예산을 세웠지만, 나머지는 증액 신청한 홍보예산이 삭감됐거나 아예 증액하지도 않았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당장은 예산을 세우지 않았지만, 내년 3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추경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했다. 홍보에 앞서 쓰레기 처리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전환 또한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1차적 요소는 성숙한 시민의식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관리사무소와 경비원, 주민들이 뜻을 모아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 남동구 논현동 한화 에코메트로 아파트의 사례는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김민재·박경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