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대한당뇨병학회가 주최하고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 후원으로 열린 '제2회 그린스타 캠페인'의 참가자들이 약 30만개의 버려진 인슐린펜으로 만든 '희망의 터널' 앞에서 당뇨병 환자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연합뉴스

14일은 국제연합(UN)이 정한 '세계 당뇨병의 날'이다. UN은 당뇨병 환자에게 극복 의지와 희망을 전하고, 일반인들의 관심을 촉구하고자 당뇨병의 날을 지정했다. 세계 각국에서는 이날 주요 조형물들을 푸른빛으로 물들이는 행사를 연다.

그런데 당뇨병의 날을 맞아 돌아본 인천의 당뇨병 관리 현실은 그리 긍정적이지 못하다. 최근 발표된 통계를 보면 인천의 당뇨병 환자 비율은 11%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3번째로 높다. 또한 인천은 지난해 당뇨병으로 숨진 환자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당뇨병 환자는 전국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그 피해는 시민 개개인과 그 가족, 지역사회가 고스란히 떠안을 수밖에 없다. 당뇨병은 관리만 잘하면 완치에 가까운 생활이 가능한 질병이다. 반면 당뇨병을 내버려 두면 합병증 발병과 같은 '재앙'이 올 수도 있다. 당뇨병 합병증으로는 실명, 신부전, 심혈관계 질환 등이 있다. 이 같은 질병을 갖게 되면 더 이상 정상인과 같은 생활은 불가능해진다.

결국 당뇨병 관리를 하지 않는 것은 사회 생산력 감소로 직결된다. 관리만 잘 했으면 정상인과 같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사람이 '사회의 짐'이 되는 것이다. 합병증 치료에 필요한 병원비는 가계에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고, 건강보험 재정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때문에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당뇨병 관리를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 조언이다. 10년 뒤 운명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시민 개개인의 관심도 필요한 상황이다.

/홍현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