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8년의 부천 가스폭발사고 이후 정부 차원에서 추진돼온 '도심내 LPG 충전소의 외곽이전' 시책이 겉돌고 있다.

특히 정부는 LPG충전소의 외곽이전을 위한 법정비와 이전비용지원등 대책마련을 등한시, 국민들로부터 '만일의 사고'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22일 경기도와 일선 시·군에 따르면 도내에서 운영중인 84개 LPG충전소에 대해 정밀분석한 결과 수원 P가스충전소, 성남의 D가스, 안양 S가스충전소, 안산 B가스공업등 11개 시·군 24곳의 충전소가 위험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충전소는 대부분 주거, 상업지역에 위치한데다 충전시설노후, 위험도 평가·가스안전공사평가등 각종 평가에서 최저치인 C등급 판정을 받아 사고시 대형피해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도내 충전소중 폭발시 예상되는 피해 예상치를 보면 51명이상의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곳이 40개소(47.6%%)에 달하고 있고 50개소(59.5%)에서 10억원이상의 피해를 낼 것으로 분석됐다.

도와 시·군은 이에따라 이들 충전소를 도심외곽지역으로 이전키로 하고 산업자원부 및 건설교통부에 개발제한구역내 충전소 이전허용과 이전시 양도소득세, 법인세, 취·등록세등 각종세금감면을 해주도록 건의했으나 반영되지 않고 있다.

또 사업자들도 이전예정지 물색곤란, 이전에 따른 영업손실, 지가 및 이전비 과다소요등의 이유로 강력 반대,현재 지자체로서는 자율적인 이전을 유도할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산자부는 도심지 취약 LPG충전소를 강제적으로 이전토록 하는 조항을 법령화하기 어려운데다 이전비용 지원도 난감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崔佑寧기자·pangi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