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심이 열렸다 제18대 대통령 선거 투표가 종료된 19일 오후 수원시 장안구 개표장인 수성고등학교에서 개표요원들이 개표작업을 벌이고 있다. /임열수기자

경제 주요 단체들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에게 얼어붙은 경기를 살리고, 일자리를 늘리는 데 힘써 줄 것을 요청했다.

전경련 "과감한 투자 확대
새 정부의 경제 정책 지원"
중기중앙회 "약자 배려
대기업 위주 정책 바꿔야"


무협 "중·일과 FTA 추진
중기, 수출기업 도약 지원"
삼성 "온건한 경제 민주화
순환출자 해소 부담 덜어"


또한 심화되는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고, 경제적 약자를 배려해 사회 통합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일 논평을 통해 박근혜 후보의 대통령 당선을 축하한다는 메시지를 보내며, 당선자가 조화롭고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 최근 위기에 빠진 경제를 되살리는 데 최선을 다해 줄 것을 요청했다.

전경련은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감소, 내수부진, 가계부채 증가 등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며 "투자와 일자리 창출이 도움이 되는 경제정책을 펴 기업들이 경제 활성화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전했다.

전경련은 또 "경제계도 보다 과감한 투자와 고용 창출로 새 정부의 경제위기 극복 노력을 적극적으로 돕겠다"며 "적극적인 동반성장 노력과 사회공헌 활동으로 사회 통합에도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한상공회의소와 경영자총협회도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기를 살리고, 기업들이 일자리 창출과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달라는 논평을 발표했다.

또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하고, 노사관계의 법 질서를 회복하는 것도 새 대통령이 중점적으로 실천할 과제라고 제언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가 대·중소기업간 상생과 소상공인을 비롯한 경제적 약자를 배려하는 데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회는 "더 이상 과거와 같은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로는 계층간 양극화, 중산층 붕괴, 청년 실업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고,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중심의 새로운 경제정책을 펴야 한다"고 논평했다. 중앙회는 이어 "박 대통령 당선자는 경제민주화와 대·중소기업 양극화 해소 등 중소기업·소상공인 분야 공약을 차질없이 이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무역협회는 당선자에게 중국, 일본 등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우리나라의 경제 영토를 넓히고, 많은 중소기업이 수출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인력과 자금 등의 지원을 강화해 달라고 논평했다.

개별 대기업들은 공식적인 발언을 자제하면서도 박 당선자의 경제민주화 정책을 재점검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반(反)대기업 정서가 일상화돼버린 느낌"이라며 "정부가 어떤 정책을 밀어붙이기 전에 기업과 만나 대화를 한다면 절충점을 훨씬 찾기 쉬울 것"이라고 말했다.

대기업 주요 임원과 관계자들은 이날 밤늦게까지 남아 박 당선자가 펼칠 경제정책을 전망하고 그룹의 대응방안을 점검했다.

금산분리 강화와 순환출자 금지 문제에 민감한 삼성그룹은 박 후보 당선으로 기존 순환출자 해소 부담은 덜었지만 새누리당이 금산분리 강화를 추진하고 있어 이날 박 당선자의 공약을 다시 들여다보며 촉각을 곤두세웠다.

삼성 관계자는 "아무래도 박 당선자의 경제 민주화 공약이 온건한 만큼 큰 폭의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본다"면서 "하지만 박 당선자가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 '표심'을 의식할 수밖에 없을 것인 만큼 상당 기간 긴장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순환출자와 비정규직 문제 등 경제민주화의 핵심 쟁점을 모두 안고 있는 현대차그룹 역시 이날 일부 임직원들이 당직 근무를 하면서 선거 결과를 지켜봤다. 박 당선자는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25% 수준까지 낮추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정치 상황과 무관하게 기업 활동에 전념하려고 한다"면서 "순환출자나 비정규직 문제는 향후 입법 상황을 봐서 적절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선취재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