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당선인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8대 대통령에 취임하는 내년 2월25일까지 앞으로 2개월여 기간은 새 정부의 진용이 갖춰지는 '인사의 계절'이다.

박 당선인은 내주 대통령직인수위원장 지명을 통해 새정부의 설계도를 그릴 인수위를 출범시킴으로써 향후 주요 국정과제 선정 등 새 정부의 출범 절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어 1∼2월에는 국무총리와 국무위원 후보자를 인선해 새 내각을 구성하고, 비슷한 시기에 청와대 비서진도 확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5년 전인 2007년 대선후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인수위원장을 12월26일, 총리 후보자를 이듬해 1월28일, 대통령실장 내정자를 2월1일 각각 지명했었다.

인수위→조각(組閣)→청와대 비서진 개편의 순서는 정부직제상 이번에도 유지될가능성이 높다.

박 당선인의 첫 인사는 '인사가 만사'라는 표현 그대로, 그의 초반기 국정운영의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는게 공통된 지적이다.

새 정부에 대한 국민 여론이 처음으로 이번 인사를 계기로 형성될 것으로 보이며, 국무위원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치는 과정에서 박 당선자의 대야(對野)관계도 설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첫 단추'인 인사에 결국 박 당선인의 향후 국정운영의 순항 여부가 달려 있는 셈이다.

박 당선인이 전날 야당을 '소중한 파트너'로 언급하거나,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전화통화를 갖고 "협력과 상생의 정치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말한 것도 야당과의 원만한 관계를 바탕으로 국정에 집중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실제 국무위원 임명, 특히 총리 인준은 역대 정권에서 여야간 충돌을 불러온 '화약고'였고 이로인해 새 정부가 초장부터 삐걱이거나 '반쪽'으로 출범한 사례도 있었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에서 총리로 지명된 장상ㆍ장대환씨는위장전입 문제 등으로 청문회 과정에서 낙마했고, 뒤이어 총리로 지명된 김종필 전 총리는 야당의 인준거부로 1백67일간 '서리'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어야 했다. 내각이 6개월여 정상 가동되지 못한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2008년 2월25일 취임했으나 정부조직개편안이 3일전인 22일 국회에서 통과되면서 각료 인사청문회가 취임후로 줄줄이 미뤄졌고, 한승수 초대 총리의 인준안도 지명 한 달여만인 2월29일에야 통과됐다.

여기에 당시 이춘호 여성부 장관 후보자가 취임식 전날 부동산 투기의혹으로 자진사퇴하는 등 국무회의 구성이 상당 기간 표류했다.

이 같은 선례를 바탕으로 박 당선인은 인선에 상당히 신중을 기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박 당선인이 21-23일 외부일정을 잡지 않은 것도 인선에 집중하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새 각료 후보자에 대한 물밑 인사검증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당의 한 관계자는 "기존에 검증된 인사를 쓰자니 참신성이 떨어지고, 외부에서 새 인사를 발탁하더라도 검증문제가 어떻게 될지 몰라 부담이 있는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현행 인사청문회법은 정부가 국무위원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요청안을 제출한 지 20일 이내에 국회가 청문 절차를 끝내도록 하고 있다.

부득이한 사유로 20일 이내에 인사청문회를 끝내지 못하면 대통령이 이후 10일 이내의 범위에서 기간을 정해 청문경과보고서의 송부를 국회에 요청할 수 있다. 결국 늦어도 2월초에는 총리가 지명되고 이에 따른 새 각료들의 인사제청이 끝나야 한다는 계산이어서 박 당선인은 차질없는 초기 국정을 위해 새해초부터 인사검증에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