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종 정치부 차장
인천 송도에 가면 환경분야의 세계은행이라는 게 있다. 한국 최초의 유엔기구인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이다. 지난해 이명박 정부와 인천시가 손 잡고 유치한 것이다.

2011년부터 100조원의 세계 환경기금이 모이고, 향후 수백조원에 이르는 기금을 운영할 것이라고 한다. 사무국이 본격 업무를 개시하면 저탄소 녹색도시 인프라 구축 사업을 벌이기 위해 여러 나라들이 기금을 지원받기 위해 송도로 몰릴 것이다.

개발도상국을 비롯, 저개발 국가들이 기후변화 글로벌 거버넌스에 참여하게 되고, 인천 송도가 그 중심에서 세계의 녹색성장 시대를 선도하게 될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예측으로는 GCF 사무국 유치로 연간 3천800억원 이상의 직접적인 경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인천 송도가 이 같은 국제기구를 유치하기까지엔 정부와 인천시간 공조 분위기가 한몫했다.

이명박 정부는 정권의 핵심사업인 국제규모의 녹색성장기구인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를 만들어 GCF 사무국 유치의 기반을 만들었고, 인천시는 송도 아이타워(I-Tower) 15개 층 빌딩을 무상으로 내주는 등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했다. 인천이 미래의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기 위해 과감한 투자를 강행한 것이다. 아직은 피부로 실감할 정도는 아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송도는 외국인과 자금이 몰릴 것이다.

이제 새 정부가 출범하게 된다. 새 정부는 때마침 경기도가 다른 시도에 비해 유리하고, 더 많은 인프라가 구축돼 있는 과학기술에 방점을 둔 국가 재건 프로젝트를 만들고 있다. 박근혜 당선인이 구상하는 미래창조과학부 신설이 그 요체다.

경기도는 반도체 OLED 생명공학 나노기술 헬스케어 같은 첨단기술은 물론, 쌀 산업과 축산업 등 다양한 미래산업을 안고 있다. 최근 박 당선인이 지역정책의 일환으로 그 지역에 거점대학을 만들어 특화된 과학기술과 산업, 지역의 인재를 양성하는 로드맵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런 차원에서 볼 때 도가 지금까지 공들여온 복지와 SOC 사업 추진, 규제완화도 신경을 써야겠지만, '영점'을 한 클릭 이동해 50년 성장 동력을 만들기 위한 과감한 계획과 전략 마련에 머리를 맞대보는 것도 새 정부 초기에 한번 추진해 볼 만한 시책사업일 것이다.

이를테면 규제에 얽매여 있는 대학 신설에 목매이는 것 보다는 기존의 대학을 잘 활용해 신성장 클러스터를 만들어 내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며, 새로 건설하는 평택 고덕산업단지 등 새로운 산업 환경에 맞는 성장동력을 조성해 지역 인재를 키워내는 전략을 마련하는 것도 50년 먹거리를 창출하는 것은 아닐까 싶다. 인천의 송도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