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까지 증설될 영흥화력 7·8호기의 연료가 석탄으로 결정날 가능성이 커졌다. 인천시와 지역 환경단체 등은 '환경재앙' 수준의 피해가 올 것이라며 적극 반발하고 있다.
시·지역단체 "환경 재앙" 거센 반발
수도권 화력발전 불가 불구
각종 예외조항 들어서 증설
청정연료 사용 약속도 어겨
"경제성탓 어쩔수 없다"해명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유치한 후 환경 도시를 부르짖고 있는 인천시는 체면을 구기게 됐고, 환경단체 또한 지역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격히 늘어날 위기에 놓였다며 걱정하고 있다.
현재 인천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총량의 45%를 영흥화력이 차지하고 있다. 2015년이 되면 영흥화력이 내뿜는 온실가스 비중이 55.4%까지 증가하고, 석탄을 연료로 한 7·8호기가 건설되면 62.2%까지 올라가게 된다. 인천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대부분을 영흥화력이 내뿜게 되는 것이다.
대기환경보전법에는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에 석탄을 연료로 한 화력발전소가 들어설 수 없도록 명시돼 있다. 그러나 영흥화력은 발전소 증설을 추진할 때마다 각종 예외조항 등을 들어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아 왔다.
특히 영흥화력은 향후 석탄을 연료로 한 발전기를 가동하지 않겠다는 인천 시민과의 약속도 어겼다.
영흥화력은 지난 2009년 환경부와 5·6호기 증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하며, 이후 증설되는 발전기(7·8호기)는 청정연료를 사용해 가동시키겠다는 단서를 붙였다.
환경부 관계자는 "2009년 환경영향평가 협의 당시 청정연료 사용과 관련한 단서가 붙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영흥화력은 이런 환경부와의 협의를 무시하고,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면 청정연료인 LNG를 사용하는 것보다 연간 1조원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며 석탄 사용을 고집하고 있다.
영흥화력 관계자는 "경제성 측면에서 석탄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영흥화력 7·8호기도 석탄연료 가능성 높아
입력 2013-01-30 00:11
지면 아이콘
지면
ⓘ
2013-01-30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녹색도시의 꿈' 재뿌리는 영흥화력
2013-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