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2일 북한이 제3차 핵실험을 강행한 것으로 확인되자 청와대 본관 백악실에서 긴급 회동을 갖고 정권이양기에 흔들림 없는 대북 정책을 견지키로 하는 등 향후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회동은 지난해 12월28일에 이어 40여일 만으로, 정권 교체기를 틈타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함에 따라 '안보 공백' 사태를 차단하고 국민적 불안감을 해소하려는 목적이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이 대통령과 박 당선인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강력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핵실험을 강행한 것은 국제사회로부터 고립을 자초하는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박 당선인은 이 대통령에게 "북한이 그동안 우리나라와 국제사회의 강력한 경고와 만류에도 핵실험을 강행한 것은 세계적으로 고립을 자초하는 일"이라며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어제 미국과 중국이 북한으로부터 (핵실험) 통보를 받았고, 우리는 새벽에 (재확인하는 내용을) 받았다"면서 "(정권을) 이양하는 상황에서 안보가 걱정돼 당선인과 함께 의논하는 게 좋겠다 싶어서 모시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박 당선인은 "북한이 정권교체기에 도발을 한 것은, 이런 시기에 우리 정부와 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혼란에 빠뜨리려는 게 아닌가 한다"면서 "이럴 때 정파를 떠나 합심해서 일사불란하게 대처해서 조그만 틈도 나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의 시기 선택을 보면 미국을 겨냥했다고 하는데 대한민국을 겨냥한 게 아니냐 하는 생각이 든다"면서 "안보에 관해서는 당선인이 철저하게 해서 국민이 안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어 "지난번에 박 당선인과 여야 지도부가 당정회의를 하고 안보 사안에 대해 한목소리를 낸 것이 정말 보기 좋았고, 안보 문제에서 당파를 초월해서 협력하는 모습이 좋았다"고 화답했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