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실험 강행으로 남북교류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경기도 및 경기도교육청 사업들에 빨간불이 켜졌다.
도와 도교육청은 올해 인도적 차원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을 확대해 나간다는 청사진을 이미 밝혔지만, 앞으로 이어질 정부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해 사업추진 자체가 안갯속에 갇혀버렸다.
12일 도 및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는 올해 남북교류협력 사업비로 67억원을 편성했다. 새 정부가 들어서는 만큼 남북관계 개선을 기대하며 인도적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차원이다. 도는 지난해 남북관계 경색으로 인해 편성된 예산중 말라리아 공동방역비로 5억원만을 사용했다. 도는 올해 다양한 협력사업을 구상했다. 양묘장 조성, 황해북도 농업 현대화, 영유아 지원 사업 등이 주요 내용이다. 결핵 등 의료지원사업은 새롭게 추가된 항목이다.
DMZ(비무장지대) 설치 60주년을 맞아 기존 임진각 일대에서 열리는 마라톤대회를 개성까지 확대하는 구상도 마련했다.
도 관계자는 "대북사업은 지자체가 계획을 세워 추진하더라도 정부(통일부) 승인이 필요하다"며 "북한 핵실험 강행으로 대북제재가 예상되는 만큼 정상적 추진이 어렵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도교육청 역시 당황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새정부 출범에 맞춰 북한과의 협의를 통해 오는 5월 예정된 '큰그림 그리기대회'를 남북 공동으로 개최하는 계획을 밝혔지만, 사실상 공동 개최는 어려워졌다. 도교육청은 오는 5월24일부터 31일까지 파주 평화누리공원에서 큰그림 그리기 대회를 개최키로 확정한 상태다.
북한과 공동개최가 결정되면 판문점에서도 그림을 전시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한다는 복안도 세웠다. 이에 지난해 일본 도쿄에 본부를 둔 비영리기구 'Earth Identity Project'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협의도 마쳤다. 또 최근 통일부에 사업 내용을 통보하고, 승인 협의를 진행중이다. 그러나 북한 핵실험으로 공동개최가 불투명해지면서 남북한 평화유지와 평화통일의 중요성을 알리겠다는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김태성·이경진기자
[북한 3차 핵실험]경기도 차원 남북교류 '빨간불'
北 농업 현대화·영유아 지원
큰그림그리기대회 개최 차질
입력 2013-02-12 23:4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3-02-13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북한 3차 핵실험]동요보다 관망… 경제 여파·남북 경색 우려
2013-02-12
-
[북한 3차 핵실험]박근혜 "北, 비핵화 약속 지켜야" 강력 규탄
2013-02-12
-
[북한 3차 핵실험]새누리, 긴급최고위 열고 "유엔 안보리 위반"
2013-02-12
-
[북한 3차 핵실험]긴박한 하루 보낸 인수위
2013-02-12
-
[북한 3차 핵실험]이명박 대통령-박근혜 당선인 긴급회동… 흔들림 없는 대북정책 견지
2013-02-12
-
[북한 3차 핵실험]"北 전역 사정권 미사일 조기 배치" 靑 비상대응체제 전환
2013-02-12
-
[북한 3차 핵실험]입지 좁아진 北의 선택 '핵 도박'
2013-02-12
-
[북한 3차 핵실험]공항·항만 등 국가시설 경계태세 강화
2013-02-12
-
[북한 3차 핵실험]"北 독재체제 자멸 초래 행위"
2013-02-12
-
[북한 3차 핵실험]최대 16kt 추정 '히로시마 원폭보다 강해'
2013-02-12
-
[북한 3차 핵실험]"한반도·동북아 평화 안전 위협" 정부 강력대응 천명
201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