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선 '핵실험'이 아니라 '핵시험(核試驗:허스이엔)'이라고 하지만 북한의 3차 핵시험 후 반북 시위가 번져 관심거리다. '폭핵 항의(爆核議抗)' '조선 핵시험은 은혜를 원수로 갚는 것(朝鮮核爆恩將仇報)' 등 플래카드를 든 시위가 동북쪽 랴오닝(遼寧)성 성도(省都) 선양(瀋陽)에서부터 남쪽 끝인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까지 확산되고 있는가 하면 인터넷에도 김정은 풍자 희화(戱畵)와 '북한 장송곡(北韓喪歌)' 동영상이 뜨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네티즌이 북한을 '朝鮮(차오시엔)'이 아닌 '北韓(베이한)'이라고 표현한 것만도 놀라운 변화다. 인민일보와 자매지인 지구신문(環球時報) 등 일부 언론도 '대북 원조를 줄이라'는 사설을 쓰는 등 대북 압박에 동참했다. 그렇다면 중국 정부가 긴장할까, 아니면 눈 하나 깜짝하지 않을까.

엊그제 베이징 발 로이터통신이 그 후자 쪽이라는 생생한 증언을 전했다. "중국은 조선의 3차 핵시험에 강렬한 불만을 전했습니다. 하지만 그건 요식행위죠. 우리는 조선의 예측불능 대혼란사태를 원치 않습니다. 가뜩이나 미국이 서태평양 제해권(制海權)에 나서는데 중국이 그들과 보조를 맞춰 조선을 압박할 순 없겠죠"가 상하이 푸딴(復旦)대학 선띵리(沈丁立) 교수의 말이었고 "중국은 늘 조선의 급붕괴를 두려워합니다.

난민 문제, 사회불안, 군사충돌 등…. 중국이 양다리를 걸치고 있는 이유를 아시겠습니까"가 주펑(朱鋒) 베이징대 교수의 반문이었다. 중국 국제위기그룹의 스테파니 아일브란트 동북아 책임자도 "중국은 조선의 체제를 막다른 곳으로 몰아넣기보다 현상 유지를 바란다"고 했다.

중국은 북한 체제 붕괴를 원치도 않고 용납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미·일 동맹과 미국의 동북아 패권 진로에 앞세울 대항마가 혈맹인 띠디(弟弟→아우) 국가 북한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한반도 통일도 염두에 없다. 왜? 적화통일이 아닌 통일은 한·미·일 동맹으로 귀결, 중국의 동북아 패권에 결정적인 장애가 되기 때문이다. 북한도 그 점을 알아 당당한 것이다. 중국은 북한이 전쟁만을 피한 채 강성국가로 머물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중국의 반북 시위에 별로 고무될 바는 못 된다.

/오동환 객원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