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과 라인 등의 성황으로 이동통신사들이 6년간 30억 달러(약 3조2천600억원)가량 손해를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카카오톡·라인·아이메시지·위챗 등이 가입자를 끌어모으면서 2012∼2017년 이동통신사 수익 가운데 30억 달러 이상이 사라질 것이라는 보고서를 8일 공개했다.
통신망을 직접 운영하지 않고 이통사가 깔아놓은 망을 이용해 사업을 벌인다고 해 오버더톱(OTT) 사업자라 불리는 이들 메시징 업체들은 특히 한국과 미국 등 아시아태평양 시장에서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
텐센트의 위챗이 가입자 3억명을 넘어섰고, 애플의 아이메시지가 2억5천만명, 라인이 1억명, 카카오톡이 약 8천만명 선이다.
SA는 이들 OTT 사업자들이 이통사의 메시지 수익을 위협하면서도 정작 그 수익을 가로채지는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이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요금을 매기지 않아 메시지 수익은 사라지고, 대신 이들 업체는 가상 재화를 판매해 수익을 얻는다고 SA는 설명했다.
카카오톡과 라인 등이 판매하는 이모티콘과 게임 아이템 등이 대표적인 가상 재화라고 볼 수 있다.
SA는 글로벌 혁신의 영향으로 이들이 큰 성공을 거뒀지만 해당 분야에서 세계적인 지배력을 얻은 것은 아니라고 덧붙이며 이동통신사들이 새로운 가상재화 플랫폼을 발굴할 것을 주문했다.
조시 마틴 SA 애플리케이션(앱) 조사 책임자는 "앱들은 2017년까지 360억 달러를 벌어들이겠지만 동시에 수십억 달러의 수익을 없애기도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동통신사가 지원하는 OTT 메시징 서비스인 조인이 개발자들에게 매력적인 플랫폼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이통사들은 거기서 새로운 수익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카카오톡·라인·아이메시지·위챗 등이 가입자를 끌어모으면서 2012∼2017년 이동통신사 수익 가운데 30억 달러 이상이 사라질 것이라는 보고서를 8일 공개했다.
통신망을 직접 운영하지 않고 이통사가 깔아놓은 망을 이용해 사업을 벌인다고 해 오버더톱(OTT) 사업자라 불리는 이들 메시징 업체들은 특히 한국과 미국 등 아시아태평양 시장에서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
텐센트의 위챗이 가입자 3억명을 넘어섰고, 애플의 아이메시지가 2억5천만명, 라인이 1억명, 카카오톡이 약 8천만명 선이다.
SA는 이들 OTT 사업자들이 이통사의 메시지 수익을 위협하면서도 정작 그 수익을 가로채지는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이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요금을 매기지 않아 메시지 수익은 사라지고, 대신 이들 업체는 가상 재화를 판매해 수익을 얻는다고 SA는 설명했다.
카카오톡과 라인 등이 판매하는 이모티콘과 게임 아이템 등이 대표적인 가상 재화라고 볼 수 있다.
SA는 글로벌 혁신의 영향으로 이들이 큰 성공을 거뒀지만 해당 분야에서 세계적인 지배력을 얻은 것은 아니라고 덧붙이며 이동통신사들이 새로운 가상재화 플랫폼을 발굴할 것을 주문했다.
조시 마틴 SA 애플리케이션(앱) 조사 책임자는 "앱들은 2017년까지 360억 달러를 벌어들이겠지만 동시에 수십억 달러의 수익을 없애기도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동통신사가 지원하는 OTT 메시징 서비스인 조인이 개발자들에게 매력적인 플랫폼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이통사들은 거기서 새로운 수익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