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은 8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3차 핵실험을 규탄하고 이를 제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킨 것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김재연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유엔안보리의 제재결의는 평화가 아닌 긴장 격화만을 불러올 것이 자명하다"며 "평화적 해법을 팽개치고 위기를 부추기는 결의안 채택 강행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세계 평화와 한반도 평화보다 미국의 패권적 이익을 위한 유엔 안보리의 행보는 그 어떤 평화 세력도 납득시키지 못할 것"이라며 "제재와 압박으로는 한반도 평화를 이룰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제재결의안에 대한 비판으로 처음에는 '규탄'이란 표현을 썼다가 비판을 의식한 듯 잠시 뒤 '유감'으로 수위를 한 단계 낮춘 논평을 다시 냈다.
진보당은 이번 핵실험과 관련, 당사자인 북한에 대해선 침묵으로 일관한 채 우리 정부와 주변국의 대응 등에 대한 유감을 표명해왔다. 지난달 국회의 북한 핵실험 규탄 결의안 표결에도 불참했다.
또 당의 싱크탱크인 진보정책연구원은 '남북공멸을 초래할 북한공격 전쟁훈련을 당장 중단하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작전계획5027·5029와 '키리졸브' 훈련 등을 '북침 훈련'으로 규정하고 한미합동군사훈련 중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김재연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유엔안보리의 제재결의는 평화가 아닌 긴장 격화만을 불러올 것이 자명하다"며 "평화적 해법을 팽개치고 위기를 부추기는 결의안 채택 강행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세계 평화와 한반도 평화보다 미국의 패권적 이익을 위한 유엔 안보리의 행보는 그 어떤 평화 세력도 납득시키지 못할 것"이라며 "제재와 압박으로는 한반도 평화를 이룰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제재결의안에 대한 비판으로 처음에는 '규탄'이란 표현을 썼다가 비판을 의식한 듯 잠시 뒤 '유감'으로 수위를 한 단계 낮춘 논평을 다시 냈다.
진보당은 이번 핵실험과 관련, 당사자인 북한에 대해선 침묵으로 일관한 채 우리 정부와 주변국의 대응 등에 대한 유감을 표명해왔다. 지난달 국회의 북한 핵실험 규탄 결의안 표결에도 불참했다.
또 당의 싱크탱크인 진보정책연구원은 '남북공멸을 초래할 북한공격 전쟁훈련을 당장 중단하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작전계획5027·5029와 '키리졸브' 훈련 등을 '북침 훈련'으로 규정하고 한미합동군사훈련 중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