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3차 핵실험으로 중국내에서 북한을 비난하는 반북 시위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최근 중국 공안당국이 단둥(丹東) 축구화 공장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들의 비자 발급 절차를 강화해 공장 운영에 차질을 빚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시는 남북 교류사업 일환으로 2011년 중국 단둥에 북한 근로자 23명을 고용한 수제 축구화 공장을 설립, 운영중이다. 10일 대북 지원 단체 등에 따르면, 휴가차 고향인 북한으로 들어갔던 단둥 축구화 공장 근로자 23명은 지난 2월말 공장에 복귀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중국이 이들의 비자 허가를 늦추는 바람에 당초보다 2주 이상 늦게 공장에 복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중국측의 비자 불허로 10일가량 신의주 지역에 대기하다 지난주에야 축구화 공장에 복귀했다고 한다.

통상 하루나 이틀이면 됐던 비자 발급이,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평균 10일 이상 지연되고 있다는 것이 대북 지원단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대북 지원 단체 관계자는 "3차 핵실험 이후 중국내에서 북한을 비난하는 시위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며 "중국 당국도 이런 내부 사정을 반영해 북한 사람들의 비자 발급 절차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측의 이런 움직임에 최근 남북간 군사 긴장이 최고조에 달하면서, 단둥 축구화 공장이 비정상으로 가동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현재 단둥 축구화 공장은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으며 다음달에는 8명의 근로자가 증원될 예정"이라며 "아직 별다른 특이 동향이 보고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