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11일을 '정전협정 백지화 시점'으로 공언하면서, 북한군이 실제 대남 도발을 감행할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2010년 백령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폭격을 직·간접적으로 겪은 인천시민들의 불안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군(軍)당국과 인천시 등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경계태세를 강화하고 서해 5도 주민 대피소와 경보시설을 점검하는 등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 북 기습 도발 우려 커져
군(軍) 당국은 북한이 '치고 빠지는 기습적인 방식'으로 군사 도발할 것으로 판단하고 북한군의 동향을 정밀 감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한 소식통은 10일 "북한은 우리가 전혀 예상하지 않은 시간과 장소에서 기습적인 방식으로 도발할 것으로 본다"면서 "특히 북한의 소행으로 의심이 들지만 즉각 대응할 수 없도록 치고 빠지는 식의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런 유형은 지난해 북한이 민간 항공기와 여객선을 대상으로 감행했던 GPS 전파 교란 공격이나 서해 5도 북방한계선(NLL), 비무장지대(DMZ) 등에서의 기습적인 도발로 분류할 수 있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반면 일부 대북 전문가들은 북한의 이번 초강경 군사적 위협이 실제 행동보다는 '엄포'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민간 대북지원단체 한 관계자는 "지금껏 북한이 사전에 엄포를 놓고 공격을 감행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며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 때도 정부가 북한의 기습 징후를 발견하지 못하다 뒤통수를 맞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 서해 5도 만반의 준비태세
군(軍)과 인천시 등 서해5도를 관할하고 있는 기관들은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 북한이 기습 공격을 감행할 경우, 서해 5도가 타깃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옹진군은 지난 8일 비상근무 체제를 발령,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상황실을 운영하는 한편 비상연락망을 유지하고 유관기관과의 협조 체계를 점검했다.
군·경찰과 함께 8일부터 비상근무 대기에 들어간 백령도·연평도 면사무소 직원들은 일요일인 10일에도 출근해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서해 5도에 있는 42곳의 주민 대피소는 언제라도 주민들이 들어갈 수 있도록 개방됐다. 마을에 퍼진 방송망을 통해 하루 1~2차례 "긴급상황 발생 시 대피소에 들어갈 수 있으니 주민들은 준비하고 있으라"는 방송도 내보내고 있다.
송영길 인천시장도 이날 특별 지시를 내려 안보 관련 부서와 비서실장, 대변인 등을 소집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비상연락망을 점검하는 한편 서해 5도로부터 수시로 상황 보고를 받고 있다"면서 "현재 언론에 귀를 기울이며 북한의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