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2일 미정 상태이던 민정수석실 법무비서관과 홍보수석실 홍보기획비서관 인선을 마무리하면서 비서관 40명을 모두 확정했다.
비서실장 직속 비서관은 5명으로 박근혜 대통령을 국회의원 시절부터 보좌해온 보좌진이 대거 들어갔다. 총무비서관에 이재만 전 보좌관이, 제1부속비서관에 정호성 전 비서관, 제2부속비서관에 안봉근 전 비서관이 각각 임명된 것으로 전해졌다.
의전비서관에는 우경하 외교통상부 지역통상국장이, 연설기록비서관에는 조인근 대선캠프 메시지팀장이 각각 임명됐다.
정무수석실 산하 정무비서관에 김선동 전 국회의원, 행정자치비서관에 박동훈 행정안전부 지방행정국장, 국민소통비서관에 신동철 대선캠프 여론조사단장, 사회안전비서관에 강신명 경북경찰청장이 각각 확정됐다.
민정수석실에는 민정비서관에 이중희 인천지검 부장검사, 공직기강비서관에 수원지검 공안부장을 지낸 조응천 변호사, 민원비서관에 임종훈 인수위 행정실장이 임명됐다.
홍보수석실의 경우 대변인에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과 김행 위키트리 부회장이, 국정홍보비서관에 백기승 대선캠프 공보위원, 춘추관장에 최상화 대선캠프 직능총괄단장이 각각 임명돼 활동 중이다.
뒤늦게 인선이 된 홍보기획비서관 자리에는 문화일보 논설위원을 지낸 최형두 총리실 공보실장이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기획수석실에서는 기획비서관에 홍남기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이, 국정과제비서관에 오균 총리실 기획총괄정책관이 각각 내정됐다.
경제수석실에서는 경제금융비서관에 주형환 기재부 차관보, 산업통상자원비서관에 문재도 지식경제부 산업자원협력실장, 중소기업비서관에 최수규 중소기업청 정책국장, 국토교통환경비서관에 김경식 국토해양부 건설수자원정책실장, 농수산식품비서관에 정황근 농림수산부 농업정책국장이 각각 임명된 것으로 전해졌다.
미래전략수석실 소속 비서관으로는 과학기술 장진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과학기술정책국장과 정보방송통신 김용수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진흥기획관, 기후환경 최흥진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이 각각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문화수석실에는 교육비서관 김재춘 영남대 교육학과 교수, 문화체육 서미경 새누리당 수석전문위원, 관광진흥 류정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융합연구실장이 각각 임명됐다고 한다.
고용복지수석 산하에는 보건복지 장옥주 한국노인인력개발원장이, 여성가족 정영순 이화여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교수, 고용노사 한창훈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이 각각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안보수석실의 경우 외교비서관에 김형진 외교부 북미국장, 국방비서관에 연제욱 국방부 정책기획관, 통일비서관에 홍용표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각각 임명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안보실 산하 비서관으로는 국제협력비서관에 김홍균 외교부 평화외교기획단장이 임명됐으며 위기관리비서관과 정보융합비서관으로는 이명박 정부 청와대에서 일했던 김희철 위기관리비서관과 서용석 정보분석비서관이 각각 유임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름이 알려진 비서관 38명의 면면을 보면 비서실장 직속과 정무, 민정, 홍보 라인에 친박(친박근혜)계 인사가 대거 포진한 점이 눈에 띈다.
국정기획이나 경제, 미래전략, 교육문화, 고용복지, 외교안보 등 정책 분야의 경우 해당 부처 관료 중심으로 인선이 이뤄졌다. 이를 놓고 전문성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박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사법시험과 행정고시, 외무고시, 입법고시 등 고시 출신이 14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신 대학과 지역이 파악된 인사는 38명인데 대학별로는 서울대가 13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려대 5명, 연세대 4명, 한양대와 육사 각 3명, 한국외대 2명 등이었다.
출신지 별로는 서울ㆍ경기 13명, 충청과 TK(대구ㆍ경북) 각 6명, PK(부산ㆍ경남) 5명, 호남과 강원이 각 4명 등이었다.
비서관 인선이 마무리된 것은 새 정부가 출범한지 16일만이다. 인선이 늦어지면서 그 과정에서 각종 잡음도 끊이지 않았다.
민정비서관의 경우 내정됐다 취소된 뒤 다시 임명됐으며, 사회안전비서관과 보건복지비서관의 경우 다른 사람이 내정됐다가 교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홍보기획비서관과 법무비서관의 경우 애초 내정이 취소되는 바람에 새 인물을 물색하느라 전체 인선이 늦어진 원인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비서실장 직속 비서관은 5명으로 박근혜 대통령을 국회의원 시절부터 보좌해온 보좌진이 대거 들어갔다. 총무비서관에 이재만 전 보좌관이, 제1부속비서관에 정호성 전 비서관, 제2부속비서관에 안봉근 전 비서관이 각각 임명된 것으로 전해졌다.
의전비서관에는 우경하 외교통상부 지역통상국장이, 연설기록비서관에는 조인근 대선캠프 메시지팀장이 각각 임명됐다.
정무수석실 산하 정무비서관에 김선동 전 국회의원, 행정자치비서관에 박동훈 행정안전부 지방행정국장, 국민소통비서관에 신동철 대선캠프 여론조사단장, 사회안전비서관에 강신명 경북경찰청장이 각각 확정됐다.
민정수석실에는 민정비서관에 이중희 인천지검 부장검사, 공직기강비서관에 수원지검 공안부장을 지낸 조응천 변호사, 민원비서관에 임종훈 인수위 행정실장이 임명됐다.
홍보수석실의 경우 대변인에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과 김행 위키트리 부회장이, 국정홍보비서관에 백기승 대선캠프 공보위원, 춘추관장에 최상화 대선캠프 직능총괄단장이 각각 임명돼 활동 중이다.
뒤늦게 인선이 된 홍보기획비서관 자리에는 문화일보 논설위원을 지낸 최형두 총리실 공보실장이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기획수석실에서는 기획비서관에 홍남기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이, 국정과제비서관에 오균 총리실 기획총괄정책관이 각각 내정됐다.
경제수석실에서는 경제금융비서관에 주형환 기재부 차관보, 산업통상자원비서관에 문재도 지식경제부 산업자원협력실장, 중소기업비서관에 최수규 중소기업청 정책국장, 국토교통환경비서관에 김경식 국토해양부 건설수자원정책실장, 농수산식품비서관에 정황근 농림수산부 농업정책국장이 각각 임명된 것으로 전해졌다.
미래전략수석실 소속 비서관으로는 과학기술 장진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과학기술정책국장과 정보방송통신 김용수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진흥기획관, 기후환경 최흥진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이 각각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문화수석실에는 교육비서관 김재춘 영남대 교육학과 교수, 문화체육 서미경 새누리당 수석전문위원, 관광진흥 류정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융합연구실장이 각각 임명됐다고 한다.
고용복지수석 산하에는 보건복지 장옥주 한국노인인력개발원장이, 여성가족 정영순 이화여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교수, 고용노사 한창훈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이 각각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안보수석실의 경우 외교비서관에 김형진 외교부 북미국장, 국방비서관에 연제욱 국방부 정책기획관, 통일비서관에 홍용표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각각 임명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안보실 산하 비서관으로는 국제협력비서관에 김홍균 외교부 평화외교기획단장이 임명됐으며 위기관리비서관과 정보융합비서관으로는 이명박 정부 청와대에서 일했던 김희철 위기관리비서관과 서용석 정보분석비서관이 각각 유임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름이 알려진 비서관 38명의 면면을 보면 비서실장 직속과 정무, 민정, 홍보 라인에 친박(친박근혜)계 인사가 대거 포진한 점이 눈에 띈다.
국정기획이나 경제, 미래전략, 교육문화, 고용복지, 외교안보 등 정책 분야의 경우 해당 부처 관료 중심으로 인선이 이뤄졌다. 이를 놓고 전문성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박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사법시험과 행정고시, 외무고시, 입법고시 등 고시 출신이 14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신 대학과 지역이 파악된 인사는 38명인데 대학별로는 서울대가 13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려대 5명, 연세대 4명, 한양대와 육사 각 3명, 한국외대 2명 등이었다.
출신지 별로는 서울ㆍ경기 13명, 충청과 TK(대구ㆍ경북) 각 6명, PK(부산ㆍ경남) 5명, 호남과 강원이 각 4명 등이었다.
비서관 인선이 마무리된 것은 새 정부가 출범한지 16일만이다. 인선이 늦어지면서 그 과정에서 각종 잡음도 끊이지 않았다.
민정비서관의 경우 내정됐다 취소된 뒤 다시 임명됐으며, 사회안전비서관과 보건복지비서관의 경우 다른 사람이 내정됐다가 교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홍보기획비서관과 법무비서관의 경우 애초 내정이 취소되는 바람에 새 인물을 물색하느라 전체 인선이 늦어진 원인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