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년 9월 23일 인천시 서구 경서동 수도권쓰레기매립지에 악취 현장 답사를 나선 청라국제도시와 검암동ㆍ연희동 등 매립지 인근 주민들이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심한 악취로 코를 틀어 막은 채 매립지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경인일보 DB
환경부가 진행 중인 '수도권매립지 및 영향지역 악취실태 조사'는 수도권매립지에 대한 주민들의 '정서상 반감'을 '계량화된 자료'로 무마시키려는 의도로 읽힌다.

수도권매립지의 주된 민원은 '악취'다. 지난 2011년 9월께 청라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악취민원과 시위가 있었고, 당시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 상부의 황화수소 농도는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최소 감지농도의 1천760배인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에 유영숙 전 환경부 장관은 "청라악취 민원을 분석해 보니 수도권매립지 외에 목재단지나 서부산단, 소각장 등에 대한 민원도 있었다"며 "풍향에 따라 매립지가 아닌 다른 곳에서 악취가 불어올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해명해 이번 논란을 예고한 바 있다.

실제 이번 연구는 환경부가 드라이브를 걸었다. 공공연하게 매립지 연장 추진의지를 내비친 두 기관의 합작품이라는 얘기다. 환경부와 매립지공사는 이번 기회를 통해 일종의 '억울함'을 해소하겠다는 의도까지 갖고 있다. 환경부는 매립지 주변지역의 '악취발생 농도'보다는 '악취발생 총량'에 더 주목하고 있다.

인천 서구지역 주민들은 "악취문제만을 놓고 매립기간 연장문제를 따지는 것은 지역주민 정서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매립기간 종료문제는 악취와 소음, 분진 등 환경피해와 더불어 폐기물의 발생지처리원칙을 무시하는 환경부, 서울시의 태도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서구 관계자는 "인천지역의 악취실태를 전반적으로 조사한다면 모를까 환경부가 매립지 주변지역의 악취만을 조사한다는 것은 결국 뻔한 의도 아니겠냐"며 "매립지와 서부산단의 악취실태를 비교해 매립지 연장의 근거로 삼으려는 것"이라고 했다.

이밖에 조사결과에서 매립지 주변지역 악취에 대한 기여도가 수도권매립지보다 공장지역이 더 높다는 결과가 나올 경우 매립기간 연장관련 협상테이블에서 인천시 논리를 압박하는 자료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부의 간섭없이 독립적인 입장에서 연구과제를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환경부 산하기관이지만 제3의 기관 입장에서 공정하게 평가를 하라는 숙제를 받은 것"이라며 "공식적인 방법을 통해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만큼, 유리방 안에서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환경부를 이롭게 하는) 은폐나 조작은 있을 수 없다"고 했다.

/김민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