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지만으론 극복 힘들어
매년 성공률 0.5% ~ 1%
껌·흡입제등 대체제 도움
흡연일지 같은 행동 요법
의사 상담 병행땐 시너지
2013년에는 꼭 담배를 끊겠노라 결심한 40대 회사원 박모씨. 하지만 그 결심은 오래가지 못했다. 금단증상 때문인지 자기도 모르게 가족들에게 괜한 짜증을 냈다. 참다못한 아내는 '그럴 거면 그냥 다시 담배를 피우라'고 소리쳤다. 올해도 결국 작심삼일. 새해 금연 다짐은 그렇게 끝나버렸다.
매년 새해 굳은 결심을 하며 금연을 선언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작심삼일 혹은 금단증상을 견디지 못하고 다시 담배의 유혹에 넘어간다. 하지만 벌써 포기하긴 이르다는 사실! 살랑살랑 봄바람이 부는 요즘, 봄맞이 금연 계획을 다시 세워 보는 것은 어떨까?
■ 백해무익한 담배
니코틴 중독에 의한 흡연은 조기 사망의 예방 가능한 가장 큰 원인이다. 흡연 남성의 52%, 흡연 여성의 43%가 담배로 인한 질병으로 사망하며 전세계 사망자 6명 중 1명은 담배 때문에 사망한다. 우리나라에서만 매년 4만7천명이 담배로 인해 사망하고 있다.
흡연은 흡연자들의 평균 기대 수명을 8년 단축시키며 흡연자의 총 중년 사망률은 비흡연자에 비해 3배나 높다. 흡연자의 절반 정도가 흡연 습관 때문에 사망하게 되지만 중년에 금연한다면 수명이 연장된다. 우리나라 남성의 흡연율은 감소 추세이다.
하지만 다른 주요 국가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월등하게 높은 수준으로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1년 흡연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남성 흡연율은 39%로 감소하였지만 2009년 기준 OECD 성인 남성 평균 흡연율이 28.4%임을 고려하면 흡연율은 아직도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담배연기는 69종의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담배연기는 암유발 및 촉진인자로 작용하여 모든 암의 43%의 원인이 된다.
담배 연기와 직접 접촉되는 구강, 식도, 폐, 기관지 등에서 발생하는 암의 90% 정도가 흡연 때문에 발생하며, 담배연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인체 장기(신장, 방광, 췌장, 위장, 간, 자궁경부, 피부, 조혈조직 등)의 암발생률은 비흡연자보다 1.5~3배 높다.
담배 연기 속의 니코틴, 일산화탄소는 혈관내피손상을 유발시켜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
흡연은 고혈압, 고지혈증과 함께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 심혈관 질환의 발생 및 사망률을 높이며 이는 흡연량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65세 이상 남성에서 관상동맥질환 사망의 25%이상과 65세 이하 남성에서 관상동맥질환 사망의 24%가 흡연에 의한 것이며, 흡연 여성의 심근경색의 비교 위험도는 비흡연자에 비해 3배 높다.
흡연은 폐의 면역체계에 변화를 일으키고 폐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다. 만성폐쇄성 폐질환 사망의 80%가 흡연 때문이며 흡연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사망률은 비흡연자보다 10배 높다.
또한 흡연은 소화성 궤양, 골다공증, 피부주름, 태아성장장애, 자연 유산 및 조산을 비롯한 산과적 문제를 일으키며, 간접흡연으로 암, 심혈관 질환, 소아 호흡기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금연 성공을 위한 다양한 방법
흡연은 정신적, 육체적 의존을 생기게 하는데 이는 담배 속에 들어있는 니코틴 때문이다. 니코틴 중독은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강력해 의지로만 끊기는 어려움이 많다.
금연을 했을 때는 체내 니코틴이 부족하게 되고 이는 니코틴 금단 증상을 발생시키며, 우울한 기분, 불면, 불안, 두려움, 안절부절, 체중증가, 심박동수 감소 등의 증상이 생기게 된다.
흡연으로 인한 니코틴 작용은 기분이 좋아지거나, 각성,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 집중력과 순발력 개선, 수행능력 향상 등이며 이를 통한 부정적 강화에 의해 담배 사용을 지속하게 되는 강력한 동기가 된다.
니코틴은 뇌신경을 간접적으로 자극해 이러한 쾌감을 느끼게 한다. 금단 증상은 금연 시작 24~48시간 후에 최대로 겪게 되며 2주 동안 서서히 감소한다. 그러나 금연 후 수 년 까지도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되면 담배를 피우고 싶은 욕구를 느낄 수 있다.
흡연자의 70% 이상이 금연을 원하지만 금연에 성공하는 사람은 매년 0.5~1% 정도로 적다. 금연 치료 중 약물요법은 니코틴 제제(껌, 흡입제, 비강분무제, 패취)를 통한 니코틴 대체 요법, 니코틴 부분 효능제 또는 항우울제를 사용한다.
니코틴 대체 요법은 금연 후 생기는 금단증상을 줄여 주어 담배를 다시 피우고 싶다는 생각을 이겨내도록 도와준다. 니코틴 부분 효능제는 뇌의 니코틴 수용체를 자극하여 금단현상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항우울제는 금단 증상의 하나인 우울한 기분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의사의 상담을 병행하였을 때 금연에 효과적이다. 즉, 의사의 상담을 포함한 행동요법이 금연 성공률을 높이며 더하여 약물 요법을 병행하면 그 효과가 더 커진다.
/김종화기자
도움말/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가정의학과 강성구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