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4·1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이후 주택거래 활성화 기대감이 상승하면서 수도권 부동산시장에 온기가 돌고 있다.

특히, '생애최초 주택구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미분양 아파트도 주목을 받고 있다.

2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경기남부지부는 4·1 부동산 대책이 지금까지 발표된 부동산 정책 중에서 가장 파격적인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또 경기지역이 최대 수혜지역이 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유규선 지부장은 "종전 부동산 대책과 달리 기존 주택에 대한 양도세 면제 부분이 주택거래를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일산, 평촌, 산본, 중동 등 오래된 신도시가 많은 경기도 입장에서는 수직증축이 허용되는 부분도 부동산 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더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협회는 구체적으로 경기 남부권에서 광교신도시와 동탄2신도시의 전용면적 84㎡의 투자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도내에서 생애최초 주택 구입시 취득세 면제를 받을 수 있는 아파트가 153만2천114가구에 달하고, 연말까지 입주가 예정된 가구도 도내에만 1만9천154가구에 이를 것으로 집계돼 지부나 지회마다 단지 인근 지역에 공인중개사무실 개소 절차를 묻는 전화까지 걸려오는 등 예전과 확연히 다른 분위기가 감지됐다.

다주택 보유자도 연내 9억원 미만 주택을 사면 5년간 양도세를 면제해 주는 방안이 포함되자 분양 참패를 했던 동탄2신도시 3차 동시분양 사무실에는 평소보다 많은 문의전화가 걸려오는 등 활기를 띠었다.

대우건설 분양대행사 관계자는 "평소 100~150건 정도 걸려오던 문의 전화가 2배 가까이 늘었고 대부분 이번 대책의 수혜자 해당 여부와 생애최초 주택구입시 취득세·양도세 감면액 규모 등을 확인하는 것"이라며 "이번 주말부터 수요자들이 본격적으로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동탄1신도시의 수요가 끊긴 상황에서 수원, 용인, 오산 등 인근 지역의 임대수익 등 투자목적 수요가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번 부동산 대책이 중·소형 신규 분양시장의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땡처리에 나섰던 건설사들은 주택구입에 나설 실수요자를 잡기 위해 계약금 정액제, 중도금 일부·전액 무이자, 발코니 무상제공 등 조건을 완화하는 등 분주한 움직임을 보였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번 부동산 대책으로 주택거래가 활성화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단기 대책이라는 한계로 인해 부동산 시장의 완연한 회복으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내놨다.

/문성호·권순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