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4차 핵실험 징후 여부를 둘러싸고 8일 정부 부처간 '혼선'이 빚어지자 컨트롤타워격인 청와대가 부랴부랴 교통정리에 나섰다.

결론은 "핵실험 징후는 없다"였다. 외교·안보 등 국민의 안위와 밀접한 사안에 대해서는 '원보이스', 즉 해당 부처가 입장을 발표함으로써 중구난방식 혼선을 방지한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방침에 따른 것이다.

북한의 4차 핵실험 징후 논란은 이날 한 신문의 보도로 불거졌다.

국방부는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 핵실험과 관련해서는 지난 2월부터 계속 브리핑해왔는데 그때도 서쪽뿐만 아니고 남쪽 갱도에서도 핵실험 준비는 마친 것으로 브리핑 한 적이 있다"면서 "그 상황은 지금도 변화가 없고, 핵실험장 주변에도 여러 가지 시설이 있기 때문에 차량이나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할 수 있다"며 관련 보도를 사실상 부인했다.

그러나 브리핑 이후 류길재 통일부장관이 국회 외교통일위 전체회의에 출석, "북한의 함경북도 풍계리 남쪽 갱도에서 인원과 차량이 왔다갔다하고 있어 4차 핵실험의 징후 아니냐는 말이 있다"는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의 질문에 "그런 징후가 있다는 것만 말할 수 있다"고 답변했다.

국방부와 다른 견해를 나타낸 것이다.

통일부장관의 발언이 언론에 보도되자 북한의 4차 핵실험 징후를 둘러싼 혼선이 가중됐고 외교안보의 컨트롤타워 격인 청와대로 언론의 질문이 쇄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청와대는 국방부측과 협의를 거쳐 국방부가 정부의 공식 입장을 발표하는 것으로 정리했다.

국방부는 오후 대변인의 공식 입장 발표를 통해 "현재 (풍계리에서의) 활동은 핵실험 징후로 보지 않는다"는 공식입장을 밝히면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남쪽 갱도에서 차량과 물자, 인원이 왔다갔다 하지만 그것은 일상적인 활동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류길재 통일장관도 국방부의 공식 발표 직후 외통위원들의 후속 질문이 이어지자 "그런 징후에 동의해 말한 적은 없다"며 오전 발언을 수정했다. 부처간 혼선을 빚고 있다는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됐다.

김행 청와대 대변인은 "원래 북한 정보는 국방부가 갖고 있기 때문에 이번 사안에 대해 국방부가 원보이스로 발표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