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은 진주의료원 폐업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통합당 원혜영(부천오정)·김용익 의원은 참여연대와 공동으로 지난 11~12일 전국 20세 이상 성인남녀 1천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지·노동현안 긴급여론조사' 결과(표본오차 ±3.1%, 신뢰수준 95%)를 14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반대한다'는 응답자가 70.9%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8.5%가 '서민 보호를 위해 공공의료는 적자와 상관없이 유지돼야 하므로 진주의료원 폐원에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보였고, 32.4%는 '진주의료원 폐원 반대는 물론이고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공공의료원이 더욱 확대돼야 한다'는 질문에 동의했다.

반면 '공공병원이라도 지방재정 안정화를 위해 적자 지방의료원은 폐쇄돼야 한다'는 답은 20.3%였다.

'진주의료원 문제 해결을 위해 중앙정부가 개입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개입을 요구하는 응답이 더 많았다. '지방의료원은 국민건강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지방의료원의 폐업 문제는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답이 59.7%였다.

이에 비해 '지방의료원의 존폐는 지방정부의 권한이므로 중앙정부의 간섭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답은 27.2%였다.

원 의원은 "공공의료성의 중요성에 대해 국민들은 높은 수준의 인식과 공감대를 가지고 있는 반면 경남도의회는 날치기라는 구시대의 유물을 꺼내는 무리수를 뒀다"며 "진주의료원 사태는 자본의 잣대가 아니라 공동체 가치의 회복으로 풀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