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첫 시행 성남 참여율 22%
도입전 추진단꾸려 수요조사
생협도 동참 지역경제활성화
남구는 전통시장 활용 추진
현실 맞는 제도 재정비 필요


어린이집 급식재료 공동구매제 도입에 미온적인 인천지역 어린이집을 공동구매에 적극 동참시키는 것은 결국 지자체의 역할에 달려있다는게 현장 관계자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올해부터 급식재료 공동구매를 본격 시행하고 있는 성남시가 좋은 사례다. 성남지역은 총 668곳의 어린이집 가운데 국·공립 어린이집 53곳과 민간 어린이집 94곳 등 모두 147곳의 어린이집(참여율 22%)이 참여하고 있다.

성남시는 제도 도입에 앞서 지난해 9월 어린이집연합회, 영양사, 학부모 등으로 구성된 추진단을 꾸리고, 동참을 원하는 어린이집 수요 조사 등 철저한 준비과정을 거쳤다.

특히 급식재료 납품업체 4곳 가운데 지역 중소업체인 주민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 포함돼 있는 점도 눈길을 끌고 있다. 급식재료 공동구매가 지역 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기 때문이다.

성남시 관계자는 "어린이집 급식 수준의 상향 평준화와 회계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어린이집, 학부모 등과 꾸준히 협의를 해왔다"며 "급식재료 공동구매를 시행하기 위해선 어린이집 원장들과의 공감대 형성 등 지자체의 노력과 의지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도 급식재료 공동구매제 시행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인천시의 의지 부족을 지적했다.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백선희 교수는 "급식문제는 아이들의 건강과 직결돼 있는데 급식재료 공동구매의 투명한 납품방식은 급식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며 "공동구매 참여를 결정하는 것은 어린이집 원장들이지만, 인천시의 의지부족도 문제다. 인천시는 공동구매를 권고하고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급식재료 공동구매가 장기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선 단순히 현 제도를 그대로 시행하는 것을 뛰어넘어 지자체의 적극적인 제도 보완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인천에서 유일하게 급식재료 공동구매를 시행하고 있는 남구는 용현시장 등 전통시장에 유통시스템을 구축, 공동구매에 참여시키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급식재료 공동구매제를 지역 상권과 연결,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를 노리겠다는 것이다.

지자체가 큰 틀에서 현 제도를 재정비해 지역실정에 맞는 급식재료 공동구매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지자체가 급식재료 납품업체 선정에만 머무를게 아니라 직접 유통시스템을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혜은 인천보육포럼 대표는 "가장 좋은 대안은 인천시에서 급식지원센터를 설립, 지역의 다양한 통로를 통해 급식재료를 마련해 각 어린이집에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이다"며 "예산상의 어려움은 있겠으나, 시가 의지를 가지고 노력한다면 지역 상권을 살리는 동시에 급식재료 구입에 대한 투명한 창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또 "지역의 농수산물센터나 생활협동조합 등을 활용, 유통시스템을 만들어 시가 직접 계약을 맺고 각 어린이집에 급식재료를 공급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 하다"고 덧붙였다.

/김성호·박경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