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월미은하레일의 향후 처리방안을 놓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송영길 시장을 태운 채 멈춰버린 은하레일(경인일보 4월 25일자 1·3면 보도)을 계속해서 운행하기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그렇다고 850억원의 대규모 예산이 들어간 은하레일을 없애버리는 것도 시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송 시장은 사고 경험 이후 실·국 간부들과 가진 회의에서 "불안하다. 위험하다. 이대로 시민이 탈 수 있겠나"라고 언급했다.

은하레일이 운행 중 자동운행장치 이상으로 멈춰버린 것을 직접 경험한 송 시장의 속내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시장이 탄 차량이 기기 이상으로 멈췄다가 다시 출발한 상황에서, 은하레일을 고쳐서라도 쓰는 방안이 사실상 어렵지 않겠냐는 게 시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그렇다고 은하레일을 없애는 방안을 쉽게 선택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시설물 전체를 철거하기 위해서는 또다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은하레일의 레일을 뜯어내고 그 위에 '보행로'나 '레일바이크'를 설치하자는 의견이 제기되는 등 다양한 활용 방안도 나오고 있다.

시는 시정참여정책위원회, 시민원로회의 등에 참여하고 있는 위원 등 인천지역 각계 인사가 은하레일을 직접 타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예정이다.

은하레일에 대한 시민들의 여론을 수렴하겠다는 뜻이다.

허종식 시 대변인은 "은하레일의 향후 처리방안을 놓고 (송 시장의) 고민이 많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시민들의 여론을 더 많이 듣고, 철도기술연구원의 안전성 검증용역 결과 등을 검토해 향후 처리방안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