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고 육성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교육부가 전국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일반고의 실태를 조사하고 상반기 중 대책을 발표한다.

교육부는 전국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일반고 육성대책을 세우기 위해 고교별 행·재정적 지원 현황을 전수 조사하고, 일선교사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방침을 최근 17개 시·도교육청에 통보했다고 29일 밝혔다.

교육부는 또 시·도교육청에 지역 상황과 교육 여건에 맞는 일반고 육성 방안을 마련해 5월까지 제출하라고 통보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시·도교육청이 제출한 방안을 뒷받침할 수 있게 관련 법령과 제도를 정비하고 재정지원도 할 방침"이라며 "이같은 내용을 종합해 시·도교육감들과 함께 6월 말께 일반고 육성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시·도교육청 별로 일반고 육성을 위한 상시 협의체 등을 구성하라고 권고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달 초 부교육감을 단장으로 하는 '일반고 점프업 추진단'을 이미 구성했다. 추진단은 6월 말까지 일반고의 교육역량을 높일 방안을 내놓기로 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해부터 '교육과정 클러스터'를 운영하고 있다. 지역 학교들이 교과목 프로그램을 서로 공유해 학생들에게 흥미·적성·진로와 연계한 맞춤형 교육을 하는 시스템이다. 다른 학교에서 자신이 원하는 수업을 듣고 시험을 보면 성적은 본래 소속 학교로 통보된다. 올해 도내 고교 평준화지역 9개 권역의 일반고 22개교로 확대해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일반고 살리기에 나선 것은 일반고 학력 저하와 소외론에 따른 것이다.

한 입시업체 분석에 따르면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서울지역 일반고 10곳 중 3곳은 재학생의 3분의 1이 언어·수리·외국어 등 3개 영역에서 평균 7∼9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일반고 위기에 대해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고교다양화 정책으로 특수목적고와 자율형 사립고,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에 지원이 집중돼 이들 학교에 우수학생들이 몰려 일반고가 슬럼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