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겨울철에는 견딜만 하지만 날씨가 따뜻한 5~6월께만 되면 악취때문에 손님이 음식을 먹으러 들어오지 않을 정도입니다.”
 시화공단에서 불과 500여m 떨어진 곳에서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김모씨(46·시흥시 정왕동)는 지난 수년간 악취문제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다고 토로했다.
 시화공단은 지난 86년 당시 수도권내에 있던 각종 폐기물 및 유독물취급업체같은 비도시형공장을 이전하기 위해 시화지구개발 기본계획이 발표되면서 본격적으로 조성됐다. 그러나 89년 당초 준공업용지로 예정된 230여만평이 주거용지로 용도변경되면서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 현재 3만5천세대 11만여명이 거주하는 신도시로 변모했다.
 ▲대기오염원인
 당초 준공업용지를 용도변경하면서 해안가의 기후특성과 공단배후라는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채 아파트가 들어선 것이 집단 민원을 불러왔다는 지적이다.
 특히 여름철에는 거의 매일 남쪽에서 편서풍이 불어오는데 북쪽에 주거지를 만들면서 차단녹지의 폭이 불과 175m에 불과하고 수목식재율도 80%에 그쳤던 점도 민원제기를 부추긴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지난해 신고된 민원 818건 중 남동·남서풍이 불었던 날에 발생한 건수가 755건을 차지하고 있다.
 또 대부분의 입주업체가 도시환경에 부적격한 악취유발업체이고 658개 소형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더해지면서 심각한 대기오염을 부른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대책 추진과정
 환경부는 지난 98년 4월 악취예방대책을 수립하고 소각시설 690개에 대해 야간소각을 금지했고 같은해 7월부터는 폐기물처리와 화공업체들의 추가입주를 제한했다.
 또 기존의 폐기물처리 및 화공업체 163곳에 대해 총 693억원의 시설자금을 지원, 배출시설을 개선하고 주요 배출업소에 대한 부정기 단속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지속적인 관리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는 이유중의 하나는 공단내 오염배출업소에 대한 단속권을 환경부가 맡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그동안 경기도와 시흥시는 효율적인 단속을 위해 지자체로의 권한 이양을 계속 요청했으나 환경부는 국가공단의 환경문제는 그 영향범위가 광범위해 중앙부처가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더욱이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시화·반월 대기특별대책반을 안산환경출장소 산하에 설치, 도와 시흥시, 안산시 등에서 7명의 인력을 지원받아 대기오염 해결에 나섰으나 이역시 형식적인 조치라는 지적이다.
 시흥시 관계자는 “대기특별 대책반이면 악취문제 해결에 중점을 둬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책반 인력이 수질, 토양 등 전반적인 업무를 담당한다”며 “부족한 환경부 인력을 지자체 인력으로 충당한 셈이다”고 말했다
 ▲시급한 해결방안
 시화신도시 지역의 악취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 주요 악취배출업소들을 타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이나 이역시 업체 및 해당지역의 반발로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로서는 이들 업체에 대한 점검 및 단속을 지금보다 강화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환경부가 가진 국가공단내 오염배출업소에 대한 환경단속권이 지자체로 위임, 이양되는 일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현재 환경부의 업무를 중복수행하고 있는 대기특별대책반 업무를 명확히 규정해 시화신도시 지역의 악취문제를 해결하는 것에만 역할을 집중해야 할것이다./李星昊기자·starsk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