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양유업 임직원들이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한 9일 오후 서울 중구 남양유업 본사 앞에서 남양유업대리점협의회 입장발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
남양유업 매출이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계속 줄고 있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밀어내기(강매)와 막말 논란 이후 남양유업의 매출이 감소세다.
매일유업과 동서식품 등 경쟁사 매출은 늘어난 것으로 집계돼 반사이익을 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편의점의 경우 대형마트와 달리 남양유업 매출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대형마트에서는 4∼8일 남양유업 매출이 전년동기보다 11.2% 감소했다.
제품군 별로는 커피가 16.3%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이어 우유 15.6%, 분유 7.1% 감소했다.
이에 반해 경쟁사인 매일유업의 매출은 1.2% 증가한 가운데 우유는 5.1% 늘었다. 분유는 2.3% 줄었지만 남양유업 감소폭(7.1%) 보다는 작다.
B대형마트(5∼8일)의 경우 남양유업 제품 가운데 우유 매출이 25.4% 줄었으나 서울우유는 5.1% 증가했다.
남양유업 분유와 커피 매출은 각각 5.8%, 3.7% 줄어든 반면 매일유업 분유는 0.8% 감소하는데 그쳤고, 동서식품 커피매출은 8.8% 증가했다.
![]() |
남양유업 제품 불매 운동이 3대 편의점 전반으로 확산된 가운데 8일 오후 서울 강서구 화곡동의 한 편의점 출입문에 "저희 점포에서는 남양유업 제품을 취급하지 않습니다."라고 적힌 팻말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
대형마트 관계자는 "압도적 시장 1위인 분유의 경우 비교적 영향이 적지만 우유나 커피 매출은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남양유업이 빚은 사회적 물의가 소비자 동향으로 이어지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유의미한 매출 추이는 주말이 지나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불매운동까지 벌인다는 편의점 업계에는 아직 큰 변화가 없다.
A 편의점의 5∼8일 매출을 보면 전체 유음료 매출은 전주보다 1.3% 증가한 가운데 남양유업 매출은 3.9% 줄었다. 매일유업은 5.2% 줄었다.
다만 컵커피의 경우 남양유업의 프렌치카페 매출이 6.2% 줄어든 반면, 매일유업의 카페라떼는 7% 늘었다.
B편의점에선 남양유업 매출(4∼8일)이 전주보다 11.5% 증가했다. 경쟁업체의 유제품 매출도 5∼10% 선으로 늘었다.
편의점 관계자는 "계절적 영향으로 5월부터 전체 음료 매출이 올라간다"며 "정확한 남양유업 매출 추이를 보려면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대형마트와 편의점 간 '온도차'에 데 대해 업계는 쇼핑 시간과 고객층 차이를 꼽았다.
대형마트는 쇼핑시간이 길어 비교적 여러 요소를 고려하지만 편의점의 경우 쇼핑시간이 짧아 무의식적인 구매가 많기 때문에 남양유업 매출이 상대적으로 견조하다는 것이다.
또 대형마트의 주 쇼핑객은 주부와 장년층인 반면 편의점 주 고객은 젊은층이 많다는 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게다가 편의점 CU·GS25·세븐일레븐 점주 단체 연합회인 전국편의점가맹점사업자단체협의회가 불매운동을 8일부터 시작해, 매출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