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일 경인일보 인천본사 독자위원들이 4월 경인일보 지면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정운기자
경인일보 인천본사 4월 독자위원회가 지난 7일 오전 11시께 인천본사 편집국장실에서 개최됐다.

고종원(동남스포츠레저타운 스포피아 대표), 윤보식((주)도일인텍 대표), 임병구(인천교육연구소장·교사), 조성혜(인천 민주평화인권센터 센터장) 위원이 회의에 참석해 4월 지면에 대한 여러 가지 의견을 서로 나눴다. 경인일보에서는 이영재 인천본사 사회문체부장이 나와 의견을 들었다.

이날 독자위원회 위원들은 5천척의 외항 입·출항 선박 중 2%만 방역이 이뤄진다는 정부의 허술한 방역 실태를 다룬 보도와 촉구결의안과 건의안을 남발하는 시의회 상황을 꼬집은 보도를 주목했다.

이에 대해 윤보식 위원은 "인천항의 대중국 교역은 60%를 상회하는데 최근 중국은 조류인플루엔자 오염국가에 포함됐고 콜레라와 구제역 등 전염병이 발병한 국가"라며 "이 때문에 화물선에 대해서도 전염성 세균 등을 막기 위한 제도정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의적절하게 잘 지적했다"고 했다.

고종원 위원도 "중국의 수많은 수입물품이 인천항으로 들어오고 있어 유해물질의 유입 피해가 심각하게 우려되는 지역"이라며 "그동안 이에 대한 경각심을 알리는 보도를 찾아볼 수 없었던 터에 중국발 AI의 유입을 경고한 기사는 의미있었다"고 호평했다.

그는 "29일부터 이에 대한 기획 보도가 이어진 점을 보면서 인천의 입장에서 꼭 필요한 부분을 짚어 주는 것을 보며 지역 신문의 중요성을 깨닫게 됐다"고도 했다.

조성혜 위원은 "17~18일 이틀에 걸쳐 당국의 느슨한 방역 실태를 고발하고 19일 보도에서 나타난 것처럼 항만 방역에 대한 보건당국의 대책마련까지 이끌어낸 점은 칭찬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인천시의회의 촉구결의안 남발 보도에 대해 윤 위원은 "정부 관계기관을 설득하기 위한 논리개발은 뒷전인 채 성급하게 결의안과 건의안을 채택하는 현 실태를 주요 광역의회 비교표를 첨부해 일목요연하게 잘 표현했다"고 말했다.

반면 조성혜 위원은 "시의회가 건수만 올리고, 뒷북처리, 중복처리한다는 평가는 단편적일 수 있으니, 담당자들의 이야기와 해명이 추가됐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고 지적했다.

23일자 1면 <자녀교육에 쫓겨 '국제도시 인천' 떠나는 외국인…年3천만원 국제학교 80%가 한국인> 보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다.

임병구 위원은 "국제학교 유치 당시부터 제기된 문제점을 경인일보가 잘 포착했다"며 "결국 대책은 내국인과 외국인이 문화적으로 섞이면서 우리 교육도 변화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했다.

그는 "이전에는 '국제학교가 없어서 외국인이 인천에 안 온다'는 식의 논리였는데 이제는 '학비가 비싸서 안 온다'면 무엇이 준비돼야 할지, 외국인과 외자 유치 문제의 핵심이 학교 탓인지 경제청은 검토해 볼 단계"라고도 했다.

교원 승진가산점 개정 소식을 다룬 24일자 보도 <섬마을 선생님 '쾌속 승진길' 열리나> 는 인사 전반에 대한 제도 개선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임 위원은 "섬에 들어가는 교사 유인 효과와 특목고와 여교사에게 불리한 섬 가산점 문제는 늘 충돌해 왔다"며 "이 점에 착안해 대안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특수지 등 가산점 문제로만 인사 문제에 접근하다 보면 풍선 효과가 나타난다"고도 말했다.

4·19와 노동절 관련 보도는 특별한 기획이 없어 아쉬웠다는 비판도 나왔다.

임 위원은 "4·19는 단순 행사 소식이, 노동절엔 특별한 기획이 없었다"며 "사전에 소재를 발굴하거나 기획으로 다룰 만한 가치를 이어가려는 노력이 절실해 보인다"고 꼬집었다.

또 "노동자의 생일인 메이데이에 노·사 상생 사례를 보도했는데 생일날 아침에 친구와 싸우지 말라고 얘기를 하는 모양새"라며 "이런 이야기가 과연 노동자들 귀에 들어갈 것인가?"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11일자 21면의 보도는 PC방 업주들의 이야기에만 편중된 보도였다는 의견도 나왔다.

윤 위원은 "비흡연자의 68%가 금연법 시행 후 PC방 방문이 늘어날 것이라고 답했다는 모 기관의 설문조사 결과도 있었다"며 "이탈하는 흡연 게임 유저를 붙잡을 수 있도록 게임업계와 PC방 업주들이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12일자 23면의 <중학생이 대낮에 성폭행 시도, 살해, 암매장…> 보도도 지적을 받았다.

고 위원은 "많은 지면을 할애해 지나치게 사건을 상세하게 보도했다"며 "학생 강력사건에 대한 문제제기와 해결방법, 주의방법 등 대안에 대한 것도 필요했다"고 비판했다. "학생이 저지른 강력사건을 추적하기만 하는 기사가 이렇게 커야 하는 의미를 모르겠다"고 했다.

30일자 23면 <강화 月음주율 인천보다 낮아 긍정적> 기사에 대해 윤 위원은 "음주율을 비교할 때 인천의 한 자치구와 강화군을 비교했다면 모르겠는데, 인천시와 비교한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며 "강화군 인천시 편입을 달가워 하지 않는 주민들이 있는 상황에서 '강화군은 인천시가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갖게 하는 기사였다"고 비판했다.

4일자 13면 데스크칼럼 <인천시와 이상한 이름짓기> 를 통해 경인일보는 '정명 600년'이란 용어의 잘못된 점을 지적했는데 15·24·40일자를 보면 '정명'이라는 용어가 계속 등장하고 있어 경인일보만이라도 '정명'을 '이름' 등 다른 용어를 정해 사용하는 것은 어떨까 하는 제안도 있었다.

외부기고에 등장하는 과격한 표현을 걸러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26일자 13면 <이완용을 아시나요?> 에는 '잘 살다가 뒈진 다섯 대신들…', '국사발달지체저능아(?)' 등의 표현이 있었다.

9일자 6면에 실린 모 업체의 막걸리 출시 사진기사는, 시사성 있는 것도 아닌데 굳이 게재했어야 했냐는 의견도 있었다.

/김성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