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담합니다."
22일 월미은하레일의 안전성 검증 용역결과를 발표한 이중호 인천교통공사 기술본부장의 말이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진행한 이번 검증용역에선 차량, 궤도, 토목, 신호, 통신, 전력 등 은하레일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분야에서 문제점이 확인됐다.
시작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은하레일 사업은 결국 850억원의 예산을 낭비하는 화(禍)를 불렀다. ┃표 참조
■ 시작부터 '시끌'
은하레일 사업은 출발부터 시끄러웠다. 은하레일은 당초 노면전차로 계획됐다. 2005년 시가 수립한 월미관광특구 마스터플랜엔 '월미도 관광전차(Tram) 도입 구상'이 반영돼 있다. 시는 노면전차 도입을 위한 타당성 검토용역도 진행했다. 250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들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시는 2007년 관광전차 형태를 모노레일 방식으로 바꿨다. 사업비가 노면전차에 비해 세 배 이상 많이 들지만 월미도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노면전차보다 모노레일이 낫다는 판단이었다.
이 과정에서 논란이 불거졌다. 사업비가 낮고 수용량이 많은 노면전차가 모노레일에 비해 수익성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주장과 'Y레일'을 도입한 도심형 모노레일 사업은 전국 최초의 사업이라 철저한 검증작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같은 주장은 먹혀들지 않았다. 은하레일은 인천세계도시축전 전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됐다.
■ 부실시공, 안전성 '논란'
부실시공 논란은 개통 4개월여 전인 2009년 3월부터 나왔다. 레일과 교각 이음새 공사가 당초 설계와 다르게 시공된 것이다. 시공을 맡은 한신공영은 볼트작업으로 설계된 이음새 부분을 별도의 검토없이 용접방식으로 바꿨다.
용접방식은 시설물의 내구성을 크게 떨어뜨릴 위험이 있다. 공사는 중단됐고, 정부는 감사를 통해 관계자 4명을 문책했다. 공사기간은 늦어졌고, 개통 시점도 2010년 6월로 연장됐다.
이 시점에 은하레일의 안전성 문제가 터졌다. 시운전 중이던 은하레일 차량이 인천은하역에 있던 궤도 점검열차를 들이받은 것이다. 이 사고로 역사 외벽에 설치된 전광판이 도로로 떨어졌다.
8월까지 크고 작은 사고가 6건 이상 연이어 발생했다. 결국 시운전은 중단됐다.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안전성 검증활동이 시작됐다. 월미은하레일 시민검증위원회의 활동이 시작됐고, 인천시의회는 조사특위를 구성해 안전성 검증활동을 진행했다. 이들은 은하레일이 '안전하지 않다'는 결론을 냈다.
■ 공사과정에 '비리'도
경찰은 은하레일 시공 과정에서 감리단과 시공사, 하도급 업체 간 유착의혹을 수사했다. 하청업체로 금품을 받고 공사비를 부풀려 8천500만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로 시공사 책임감독관 등 6명이 불구속 입건됐다. 시설물 전문면허가 없는 업체가 공사를 하도록 묵인한 감리단 관계자도 불구속 입건됐다.
이번 안전성 검증 용역 막판에도 큰 사고가 났다. 송영길 인천시장 등 일행을 태운 은하레일 차량이 이유없이 멈춰선 것이다. 차량은 이달 초 기자단 시승 과정에서도 멈췄다. 결론은 "현 상태로는 운행이 어렵다"는 것이었다.
결국 은하레일은 예산낭비의 대표적 사례라는 오명을 벗을 수 없게 됐다.
/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