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정부의 시화호담수화 포기발표에 따라 새로운 국면을 맞은 시화호의 향후 관리주체는 누가 되며 각 부처와 지자체에서 추진중이었던 개발계획들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대다수의 시민들은 해양수산부가 해결의 실마리를 풀어야 하며 정부의 각종 사업들도 전면 수정이 불가피해졌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해양수산부는 작년 8월 연안의 무질서한 개발과 환경파괴를 막기 위해 시화호일대 시화1단계 1·2·3·4지구에 대한 공유수면매립계획을 폐지한다고 공식발표했다.
 시화1단계 1·2·3·4지구에는 정부 각부처와 지자체의 개발계획들이 몽땅 들어 있다.
 당시 발표는 그러나 시화호를 둘러싸고 개발과 보전이라는 상충된 입장을 보였던 건설교통부 등의 강력한 저항을 받아 해수부의 입장이 후퇴할 것으로 짐작됐다.
 하지만 이번 담수화포기는 이러한 부처들의 기대는 물거품이 돼 입지가 약화됐다. 대신 해수부는 시화호 관리의 전면에 서서 난개발 방지를 주도하게 됐다.
 시화호는 담수화되면 육지지만 해수화가 되면 연안으로 분류돼 해양수산부의 관리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뿐만아니라 시화호관리주체의 해수부 이관은 곧바로 정부부처 등의 각종 개발계획이 무참히(?) 사라질 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농림부의 1천100만평 농업단지개발, 건교부의 시화호 남북측 2천500만평 규모의 도시개발 등과 안산시 등의 간석지개발이 그 대상이다.
 안산그린스카우트 박현규국장은 “시화호의 각종 개발계획을 백지화시켜 생태공원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安山=金耀燮기자·kimyr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