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전병헌 원내대표가 27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은 27일 박근혜 대통령 사과, 법적 대응, 국가정보원 진상규명 집회 참석 등을 결의하며 대여 공세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민주당은 전날 권영세 주중대사 녹취 공개와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의 비공개 발언을 계기로 여론 흐름이 NLL 논란보다는 국정원의 정치·대선 개입 의혹쪽으로 전환됐다고 판단, 이날 종합세트를 방불케 하는 공세를 펼쳤다.

김한길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박 대통령의 사과와 함께 대화록 입수 과정의 위법성 등을 제기하며 강력한 법적대응을 예고했다. 또 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도 촉구했다.

김 대표는 "박 대통령은 귀국 즉시 새누리당이 지난 대선 과정에서 탈법적 정치공작에 나섰다는 데 대해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대선 전후해서 새누리당과 국정원이 실행한 탈법적 정치공작의 전모를 밝히고 관련자들을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벌에 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대표는 또 "오는 7월과 8월중에 불가피한 공적 해외일정 외에는 출국을 자제해 달라"며 결의를 다졌다.

민주당은 더불어 국정원 개혁 및 국기문란 대책본부를 설치하는 한편 국정원 규탄 집회 개별 참여, 서명운동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하기로 했다.

이런 민주당의 움직임에 문재인·안철수 의원도 가세했다. 문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공개된 대화록의 조작·왜곡 가능성을 제기하며 진실 규명을 촉구했다.

문 의원은 "공개된 대화록은 2008년 1월에 생산된 것으로 돼 있다"며 "국정원의 누군가가 인수위 또는 MB정부에 갖다주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노무현재단은 기자회견을 갖고 서상기·정문헌 의원 등이 고 노무현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 의원은 이날 "회의록 공개 자체가 국익에 전혀 도움이 안 되는 방향으로, 적절한 절차도 제대로 거치지 않은 채 이뤄졌다"며 "국정원의 이익이 국익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국정원장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