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범계 민주당 의원이 27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신상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지난 대선 패배와 5·4 전당대회를 거치며 변방으로 밀려났던 민주당의 친노(친노무현) 그룹이 국정원의 대선개입 의혹 및 'NLL(서해 북방한계선) 대화록' 정국에서 다시 당의 전면에 섰다.
최근 이 사안과 관련해 연일 목소리를 높이며 '국정원·NLL 정국'의 한가운데로 뛰어든 문재인 의원을 구심점으로 친노 진영이 자연스레 재결집에 나선 모양새다.
지난 26일 권영세 주중대사 관련 녹취파일을 폭로한 박범계 의원과 박영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당 '국정원 선거개입 진상조사특위' 간사인 김현 의원 등 친노 내지 친문(친문재인) 인사들이 대여 전선의 선봉에 서 있다.
박 위원장은 대선캠프 공동선대본부장을 지냈고, 박 의원과 김 의원은 각각 과거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법무비서관과 춘추관장을 지냈다.
국정원 국정조사특위에는 이들을 포함해 청와대 민정수석 출신의 전해철 의원, 대선캠프 대변인이었던 진선미 의원 등 친노·친문 인사가 포진했다.
한동안 공개활동을 자제했던 이해찬 전 대표도 29일 봉하마을에서 열린 특강에서 국정원의 대화록 공개에 대해 "대통령 뜻 없이는 절대로 이뤄질 수 없는 사안"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을 정조준하며 가세했다. 그는 지난 17일 국회 안전행안위 전체회의에서는 이성한 경찰청장을 자리에서 일으켜 세운 뒤 "경찰청장이 옷 벗을 사안"이라며 몰아치기도 했다.
친노 진영으로서는 대선 과정에서 불거진 여권과 국정원의 커네션 의혹의 종착지에 따라 대선 패배의 책임론을 어느 정도 극복하고, '명예회복'의 계기를 마련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대선후보였던 문 의원도 지난 21일 대화록 원본 전면공개 카드로 정면돌파에 나서는 등 매일 수차례씩 트위터 글을 통해 거침없는 '돌직구'를 날리며 박근혜정부와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 |
김현 민주당 의원이 26일 국회에서 열린 안전행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참고자료를 들고 의사진행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 때문에 이번 사건을 계기로 당내 친노 진영이 문 의원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친문계'로 재편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이러한 재결속 흐름은 향후 당내 주도권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경계심도 비주류 일각에서 고개를 들고 있다.
실제 친노·친문 진영은 이번 국면에서 강경 대응을 주도하며 대여 투쟁 수위를 놓고 지도부와 강온차를 드러냈다.
원내 지도부 일각에서는 충분한 사전조율 없이 이들이 독자 행동을 하고 있다며 불편해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당 혁신 해법을 놓고도 김한길 대표의 '당원 중심주의'와 문 의원의 '시민참여 개방정당론'이 충돌할 소지를 안고 있다.
당 관계자는 3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친노·친문 진영의 야권내 위상은 한 치 앞을 가늠하기 힘든 이번 정국의 향배와 10월 재보선 결과 등에 따라 좌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 |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26일 오전 전남 순천시 전남테크노파크 내 생산업체를 방문해 공장시설을 살펴보고 있다. 문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NLL 포기했다는 왜곡은 외눈박이 식 사고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
![]() |
24일 국회 기획재정위 전체회의가 조세소위를 먼저 열어야 한다는 여당과 전체회의를 먼저 열어도 된다는 야당의 이견으로 열리지 않게 된 가운데 문재인 민주당 의원이 기획재정위 회의실에서 회의가 열리기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